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티켓 시장에서 나타나는 시장경제의 원리

김형빈 / 2025-05-20 / 조회: 23

야구는 대한민국에서 매우 사랑받는 스포츠 중 하나이다. 특히 최근에는 각 구단의 성적 향상, 인기 스타 선수들의 등장, 팬 문화를 적극적으로 이끄는 마케팅 활동 등이 맞물리며 야구의 인기가 더욱 높아졌다. 이러한 변화는 경기장 관람 수요 증가로 이어졌고, 결과적으로 티켓 확보가 점점 더 어려워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공식 판매처에서 티켓을 구매하지 못한 팬들은 제 3자 거래 플랫폼인 '티켓베이'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여 티켓을 구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티켓베이‘는 개인 간에 티켓을 사고팔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플랫폼으로, 여기서 거래되는 티켓 가격은 원래 정해진 가격, 즉 정가를 초과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인기 있는 경기, 예를 들어 라이벌 팀 간의 맞대결이나 포스트시즌 경기는 티켓 오픈 직후부터 거래 가격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시장경제의 수요-공급 원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시장경제에서는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경우, 즉 사고자 하는 사람이 많고 팔고자 하는 상품이 부족할 때 가격은 상승한다. 야구 경기 티켓 역시 마찬가지이다. 티켓팅이 막 시작된 직후, 특히 인기 경기는 순식간에 매진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티켓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며, 이들은 추가적인 비용을 지불하더라도 원하는 경기를 관람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진다. 이러한 높은 수요와 상대적으로 한정된 공급량이 결합되면서 거래 가격은 자연스럽게 정가보다 높게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가격 상승 현상은 경기일이 가까워짐에 따라 다른 양상을 띤다. 시간이 지나고 경기가 임박하면, 남아 있는 티켓을 소유한 사람들은 티켓을 소진하지 못할 경우 아무런 가치도 얻지 못하게 될 위험을 인식하게 된다. 이는 티켓 판매자에게 '기회비용'이 발생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만약, 티켓을 제때 판매하지 못한다면, 티켓은 야구 경기가 끝난 이후 무용지물이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가능한 한 빨리 티켓을 판매하고자 하며, 이 과정에서 가격을 점차 낮추는 전략을 취하게 된다.


또한, 구매자 입장에서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기 관람에 대한 필요성이 변할 수 있다. 초기에는 열망이 컸던 구매자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다른 일정이 생기거나 관심이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수요의 감소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거래 가격을 정가 수준이나 그 이하로 끌어내리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티켓 가격이 점차 정가에 수렴하는 현상은 수요 감소와 공급자 측 매각 압박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장 행동은 가격이 단순히 고정된 것이 아니라,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따라 유동적으로 조정된다는 시장경제의 기본 원칙을 잘 보여준다. 야구 티켓이라는 한정된 상품을 둘러싼 거래에서도 경제학 교과서에서 설명하는 시장의 자율 조정 메커니즘이 실제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야구 티켓 거래 사례는 시장경제 원리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좋은 예시라 할 수 있다. 초기 티켓 수요 급증으로 인한 가격 상승, 이후 공급자들의 판매 압박으로 인한 가격 하락까지 일련의 과정은 시장이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조정되는 모습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이러한 경험은 단순히 티켓 구매를 넘어, 우리가 일상 속에서 경제 원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TOP

NO. 수상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60 대상 데이트 경제학
최승호 / 2025-05-20
최승호 2025-05-20
59 대상 엘리베이터 한 번 누르는 데도 경제학이 필요하다: 아파트 관리비 분쟁에서 발견한 공유자원 관리의 경제학
박용환 / 2025-05-20
박용환 2025-05-20
58 대상 이더리움, 시장경제가 만든 디지털 자산의 세계
김하진 / 2025-05-20
김하진 2025-05-20
57 대상 대형마트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임형섭 / 2025-05-20
임형섭 2025-05-20
대상 티켓 시장에서 나타나는 시장경제의 원리
김형빈 / 2025-05-20
김형빈 2025-05-20
55 대상 게임에서 마주친 시장경제원리
최순유 / 2025-05-20
최순유 2025-05-20
54 최우수상 배달 플랫폼의 수수료와 시장경제
하헌석 / 2025-05-20
하헌석 2025-05-20
53 최우수상 별을 내려놓는 셰프들: 시장경제로 바라본 미쉐린
정시현 / 2025-05-20
정시현 2025-05-20
52 최우수상 그래픽카드 대란 속에서 시장경제 작동원리를 보다.
김충현 / 2025-05-20
김충현 2025-05-20
51 최우수상 시작은 유혹 증명은 실력으로
송경진 / 2025-05-20
송경진 2025-05-20
50 최우수상 편의점에서 배우는 시장경제의 모든 것
김진수 / 2025-05-20
김진수 2025-05-20
49 최우수상 선풍기 바람은 공짜가 아니다: 여름 전기요금과 시장경제의 교훈
김나영 / 2025-05-20
김나영 2025-05-20
48 최우수상 AI와 시장경제: 자율과 혁신을 통한 균형적 성장
김영민 / 2025-05-20
김영민 2025-05-20
47 최우수상 자판기 앞의 3초, 그리고 시장경제
최수민 / 2025-05-20
최수민 2025-05-20
46 최우수상 과잉공급 시대, 시장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조연주 / 2025-05-20
조연주 2025-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