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경제는 성장률 4.3%, 물가상승률 4.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민간·국책 연구소 및 금융기관의 경제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우리 경제에 대한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전문가들은 물가 불안과 가계대출 확대, 부동산 PF대출 부실 등 대내 요인과 국제원자재가격 상승, 유럽의 재정위기 확대, 미국의 출구전략 시행 등 대외 요인으로 인해 올초 정부가 목표했던 5% 성장, 3% 물가상승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우리 경제가 하반기에 4.4%, 연간으로는 4.3%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하반기 경제의 불안요인으로 유럽재정위기 등과 같은 대외불확실성(38%)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이어서 원유 등 국제원자재가격 상승(31%), 물가 불안(16%), 부동산 PF대출 부실(6%)과 주택경기 부진(6%) 등을 꼽았다.
금융위기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지난해 5.0% 성장률을 기록한 세계경제는 올해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면서 4.0%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의 출구전략 시행 가능성, 남유럽 재정위기 확산, 일본 원전사태 등에 따른 선진국 경제의 불확실성과 국제원자재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 신흥국 인플레이션 확대 등 많은 불안요인이 산재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2.9%보다 큰 폭 상승해 4.1%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1분기 상승률이 4.5%였던 점을 감안하면 하반기에는 물가상승 추세가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반기 주요 물가불안 요인으로는 유가·국제원자재 가격의 상승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27%), 개인서비스요금 상승(21%), 공공요금 인상(21%) 등을 지적했다.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는 원화가치는 하반기에도 상승세를 지속해 1,000원~1,050원대를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으며(72%), 전체적으로 올해 평균환율은 1,077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반기 금리 전망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94%)가 소폭 상승(3.25%~3.5%)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우리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물가 상승은 통상 1~3개월의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에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4월 중국의 물가상승률이 5.3%에 달해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하반기에는 시내버스, 전철, 상하수도, 전기요금 등을 비롯한 공공요금 인상이 예상되고 있어 물가불안요인은 여전하며, 유럽·미국·일본 등 선진국 경제와 중국 등 신흥국 경제의 불확실성도 지속되고 있어 기업경영은 물론 국가경제 운용에도 긴장의 끈을 놓쳐서는 안된다"고 밝혔다.
<설문조사 응답자 : 총 32명>
고준형(포스코경영연구소), 금재호(노동연구원), 김상기(한국은행),김양우(SK경영경제연구소), 김원규(산업연구원), 김윤기(대신경제연구소), 박동철(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서정대(중소기업연구원), 송태정(우리금융지주), 신민영(LG경제연구원), 신석하(KDI), 신용상(금융연구원), 오문석(LG경제연구원), 유병규(현대경제연구원), 유상대(한국은행), 윤종언(한국산업단지공단), 이근태(LG경제연구원), 이동섭(SK증권), 이상재(현대증권), 이성권(신한금융투자), 이장재(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이종규(금융경제연구원), 이태열(보험연구원), 장민(금융연구원), 장석인(산업연구원), 장재철(씨티그룹), 정미영(삼성선물), 정영식(삼성경제연구소), 차문중(한국개발연구원), 최성환(대한생명경제연구소), 최승노(자유기업원), 한상완(현대경제연구원)
NO. | 제 목 | ![]() |
등록일자 |
---|---|---|---|
9440 | ![]() 자유기업원 / 2025-09-11 |
||
9439 | ![]() 자유기업원 / 2025-09-10 |
||
9438 | ![]() 자유기업원 / 2025-09-10 |
||
9437 | ![]() 자유기업원 / 2025-09-10 |
||
9436 | ![]() 자유기업원 / 2025-09-09 |
||
9435 | 자유기업원 “EU·독일식 플랫폼 사전규제는 과잉규제·혁신위축… 자율·사후규제가 바람직” 자유기업원 / 2025-09-05 |
||
9434 | EU식 플랫폼 규제 도입 논란…자유기업원 “과잉규제·혁신 위축 우려” 자유기업원 / 2025-09-05 |
||
9433 | 자유기업원, `글로벌 통상질서 변화 속 한국경제의 길 찾기` 세미나 개최 자유기업원원 / 2025-09-05 |
||
9432 | HD현대重·미포 합병 반기든 노조…투쟁 길 열리나? 자유기업 / 2025-09-02 |
||
9431 | 李 정부, `주 4.5일제` 시동…내년 276억 투입 자유기업원원 / 2025-09-02 |
||
9430 | [직설] 친노동 정책 속도내는 정부…기업 옥죄기 우려에 노사 상생 길 열릴까 자유기업원 / 2025-09-02 |
||
9429 | 독소조항에 ‘더 기울어진’ 노동시장… “기업 방어권 보장 시급”[노란봉투법 산업 대혼란] 자유기업원 / 2025-09-01 |
||
9428 | 자유기업원 “대기업 일자리 정체, 한계기업 퇴출이 해법” 자유기업원 / 2025-08-27 |
||
9427 | 재계, ‘더 더 센 상법’에 패닉… “적대적 M&A공격에 노출” 자유기업원 / 2025-08-27 |
||
9426 | 자유기업원 “대기업 일자리 정체, 한계기업 퇴출이 해법” 자유기업원 / 2025-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