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사회주의의 지속적인 거짓말

라이너 지텔만 / 2025-09-26 / 조회: 128

사회주의는 세계 여기저기에서 부활을 경험하고 있다. 뉴욕시에서는, 한 사회주의 후보가 곧 시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조란 맘다니(Zohran Mamdani)는 2025년 11월 선거에서 뉴욕시장직 민주당 지명자이다. 그는 2025년 6월 14일과 24일 사이 개최된 민주당 예비선거에서 승리했고, 궁극적으로, 앤드루 쿠오모(Andrew Cuomo)를 포함하여, 열 명 이상의 상대를 패배시켰다. 비슷하게, 독일 수도 베를린에서, 페라트 알리 코차크(Ferat Ali Koçak)라는 이름의 급진적 사회주의자가 내년에 시장으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다. 자인하는 마르크스주의자이자 친팔레스타인 행동주의자인 코차크는 좌파(DIE LINKE)당에 입후보할 것이 예상되는데, 이 당은 현재 베를린에서 두 번째 강한 정당이고, 최근 여론 조사들에 따르면, 집합적으로 선거인의 50퍼센트 이상을 얻을 준비를 하는 세 좌익 정당 중 가장 강하다.


그것은 놀랍지 않다: 사회주의는 이미 소련,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 폴란드, 베트남, 불가리아, 루마니아, 체코슬로바키아, 북한, 헝가리, 중국, 동독, 쿠바, 탄자니아, 베냉, 라오스, 알제리, 남예멘, 소말리아, 콩고, 에티오피아, 캄보디아, 모잠비크, 앙골라,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그리고 많은 다른 나라에서 시도되었다. 예외 없이, 이 모든 시도는 실패했다. 체제들이−소련에서처럼−완전히 붕괴했거나, 쿠바, 북한, 그리고 베네수엘라에서처럼 나라들의 인구들이 극심한 빈곤 속에 산다. 최근 몇십 년간 생활 수준이 향상한 유일한 나라들은 중국과 베트남이다. 그러나 이 두 나라의 성공 이야기들은 오직 일단 그들이 사유 재산을 도입하고 자본주의 개혁들을 집행했을 때라야 시작되었다. 중국에서는, 마오 시대의 말에 인구의 88퍼센트가 극빈 상태에 살고 있었다; 경제적 상승은 오직 사유 재산의 도입과 덩 샤오핑의 자본주의 개혁들로만 시작되었다. 베트남은 그것이 1980년대 후기 시장 경제로 이행하기 전에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다. (▶링크)

 

그렇게 여러 번 실패한 사상이, 그렇게 많은 변종으로 그리고 그렇게 많은 철저히 서로 다른 조건에서, 어떻게 여전히 그렇게 인기가 있을 수 있는가? 그 이유는 사회주의자들이 이 실패한 실험들에서 용케 성공적으로 멀어졌기 때문이다. 사회주의자들이 실패한 시도들의 이 긴 목록에 직면할 때, 그들은 항상, 이 예들이 진정한 사회주의 모형들이 아니므로, 그것들이 아무것도 증명하지 못한다고 대답한다. 그러나 이 실험들 각각이 그렇게 음울하게 실패하기 전에는, 사회주의자들은 그것들 하나하나 모두를 찬양했다.


가장 최근 예는 베네수엘라인데, 이 나라는 2000년대 초기 세계 여기저기 좌익 지식인들에 의해 찬양되었다. 오늘날, 한때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였던 베네수엘라의 인구 80퍼센트는 가난하게 살고 있다. 그것의 국민 ¼이 그 나라를 도망쳤는데, 왜냐하면 베네수엘라에서 사회주의 지도자들이 결정적인 점을 간과했기 때문이다: 사회주의는 오직 당신이 동독에서와 같은 장벽을 건설하는 경우에만 “작동한다(works)”는 점을. (▶링크) 그리고 만약 당신이 오늘 사회주의자들에게, 그저 몇 년 전만 해도 베네수엘라를 역할 모형으로서 격찬하고 있었던 바로 그 사회주의자들에게 묻는다면, 그들은 그저 그것이 결국 진정한 사회주의가 아니었다고 대답할 뿐이다.


자기의 책 ≪사회주의. 절대 죽지 않는 실패한 사상(Socialism. The Failed Idea that Never Dies)≫에서, 경제학자 크리스티안 니미츠(Kristian Niemietz)는 모든 사회주의 실험이 거친 세 가지 별개의 단계를 개설한다:


밀월 기간: 이 초기 단계 동안, 세계 여기저기서 지식인들은 열광적이고 그 체제를 하늘 높이 찬양한다.


변명들과 그럼 당신은? 식 논쟁 기간: 서양 지식인들이 아직도 그 실험을 지지하지만, 그들의 어조는 성이 나게 되고 방어적으로 된다. 실수들이 인정되지만, 종종 자본가들, 외부 적들, 혹은 미국의 보이콧들에 돌려진다.


진정한 사회주의가 아닌 단계: 이 시점에서, 일단 파산들이 명백하면, 이전 지지자들은 그 체제가 진정으로 사회주의적이었다는 점을 부인한다. 그들은 그 나라가 애초부터 사회주의가 절대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카를 마르크스의 영감을 받고 지난 세기 동안 집행된 모든 체제가 실패했다고 어떤 사람이 지적하면, 흔한 반응은 이 체제들이, 그 자체 옳은, 그의 사상들을 잘못 해석했거나 잘못 적용했다는 것이다. 이 추론은 반자본주의자들에게 주요 방어 기제로 이바지하여, 그들이 “훌륭한 카를 마르크스”를 마르크스주의의 실패한 정치 현실과 구별할 수 있게 해 준다.


어느 이론이 100년 이상 동안 그렇게 시종일관하게 그리고 완전히 오해되었다는 명제는 아주 뻔뻔스럽고 어느 이론가에 관한 유죄 증명 판결로 여겨질 수 있을 것인데, 왜냐하면 그것은 그가 자기 생각을 극히 불분명하고 오도하는 방식으로 표현했었다는 점을 의미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마르크스를 부당하게 다룬다. 그는 의도적으로 미래 사회주의 혹은 공산주의 사회에 관한 자기 견해들을 모호하게 유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명백한 것은−계급 없는 공산주의 사회로의 과도 단계로서−사회주의가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의 폐지에 기초하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마르크스는 시종일관하게 이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바로 모든 사회주의 체제에서 일어났던 일이다. 오늘날의 맥락에서, 국유화는 더는 이 목표를 달성하는 유일한 방식이 아니다: 현대 사회주의는 종종 사유 재산의 형식적인 구조를 유지하지만, 실제로는, 그것은 빈껍데기에 불과한 것으로 된다. 오늘날의 사회주의자들은 국유화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주로 복잡한 체제의 규제들과 높은 세금들을 통해서도 자본주의를 해체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그러나 국유화는 아직도 여전히 하나의 선택지이다. 사회 민주당이 광범위한 국유화 그리고 회사들과 부동산의 몰수를 허용할 법안을 제출한 베를린에서와 같이.



라이너 지텔만(Rainer Zitelmann)은 역사학자이자 사회학자이고, ≪부유한 자본주의 가난한 사회주의(The Power of Capitalism)≫ (▶링크), ≪반자본주의자들의 열 가지 거짓말(In Defense of Capitalism)≫ (▶링크), 그리고 ≪국가들이 가난에서 벗어나는 방법(How Nations Escape Poverty)≫(▶링크)의 저자이다. 

번역: 황수연(전 경성대 교수)

       

▲ TOP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사회주의의 지속적인 거짓말
라이너 지텔만 / 2025-09-26
라이너 지텔만 2025-09-26
126 학습 기계. 빌 게이츠는 어떻게 그렇게 성공하게 되었는가?
라이너 지텔만 / 2025-09-19
라이너 지텔만 2025-09-19
125 서평: 매슈 와인지얼과 브렌던 로소의 “성장하는 우주. 마지막 경제적 변경을 열기”
라이너 지텔만 / 2025-09-12
라이너 지텔만 2025-09-12
124 시기심이 정치적 무기가 될 때
라이너 지텔만 / 2025-09-05
라이너 지텔만 2025-09-05
123 화성에 도달하는 데 트럼프가 주요 걸림돌이 될까?
라이너 지텔만 / 2025-08-29
라이너 지텔만 2025-08-29
122 미래 우주 산업: 국가 앞에 민간
라이너 지텔만 / 2025-08-22
라이너 지텔만 2025-08-22
121 유로비전: 침묵하는 다수파와 시끄러운 소수파
라이너 지텔만 / 2025-08-15
라이너 지텔만 2025-08-15
120 미국 국제 개발처의 원조 프로그램을 중단해야 한다
라이너 지텔만 / 2025-08-08
라이너 지텔만 2025-08-08
119 독일은 개발 원조에 돈을 낭비하는 것에 관해서는 세계 챔피언이다
라이너 지텔만 / 2025-08-01
라이너 지텔만 2025-08-01
118 독일 총리 메르츠가 하비에르 밀레이를 모욕했습니다. 그는 사과할 필요가 있습니다.
라이너 지텔만 / 2025-07-25
라이너 지텔만 2025-07-25
117 트럼프의 머스크 공격들은 미국 우주 프로그램을 위협한다
라이너 지텔만 / 2025-07-18
라이너 지텔만 2025-07-18
116 라이너 지텔만의 ‘빈곤과 부의 기원’
숀 밀러 / 2025-07-11
숀 밀러 2025-07-11
115 유대인들은 유럽에서 미래가 있는가?
라이너 지텔만 / 2025-07-04
라이너 지텔만 2025-07-04
114 스티브 포브스: “도널드 트럼프가 이 영화를 보아야 합니다.”
라이너 지텔만 / 2025-07-01
라이너 지텔만 2025-07-01
113 블룸버그: 머스크와 밀레이를 본받는 베트남?
라이너 지텔만 / 2025-06-27
라이너 지텔만 2025-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