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 이선민
- 자료를 준비중입니다.
-
- 모두를 위한 자유는 없다 이선민
-
화폐가 되기 위해서는 4가지 필요조건이 있다. 화폐가 되려면 교환의 매개, 회계 단위, 가치 저장, 그리고 지급의 기준으로써 역할을 해야 한다. 그중 제일 중요한 조건은 교환의 매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는 재화와 용역의 거래 시 시장 참여자들이 기꺼이 받아들어야 화폐로써 기능할 수 있다는 뜻이다. 신뢰를 ..이선민 / 2020.05.29
-
- 동물권은 없다 이선민
-
최근 예술계와 정치권에서 환경주의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동물의 권리 또한 자연스럽게 논쟁의 초점이 되었다. 공리주의는 많은 동물 권리 운동가들이 지지해 온 윤리적 방법론이다. 공리주의자들은 동물들이 고통을 느낄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도덕 공동체의 일원이라고 말한다. Shafer-Landau (201..이선민 / 2020.01.08
-
- [스토리 시장경제] 교도소를 정부가 운영해야 하나 이선민
-
191202_[스토리 시장경제] 교도소를 정부가 운영해야 하나.mp3교도소는 공공재에 해당하지만, 민간에 의해 잘 공급될 수 있고 운영되고 있다. 설령 공공재라 하더라도 반드시 정부가 공급하고 운영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세한 내용은 최승노의 `작은 정부가 답이다`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내레이터 : 이선민)..이선민 / 2019.12.02
-
- [스토리 시장경제] 재산권 불인정이 가져온 사막화 - 아인랜드, 자본주의의 이상 이선민
-
191028_[스토리 시장경제] 재산권 불인정이 가져온 사막화.mp3아인랜드 저자 `자본주의의 이상`에서도 자본주의는 재산권을 포함하여 모든 재산을 개인이 소유하고, 개인 권리를 인정하는 사회체제라고 말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모든 인간관계가 자발적입니다.보다 자세한 내용은 최승노의 `작은 정부가 답이다`를..이선민 / 2019.10.28
-
- [스토리 시장경제] 로빈 후드는 또 하나의 정부일까? 이선민
-
190916_[스토리 시장경제] 로빈 후드는 또 하나의 정부일까.mp3로빈 후드는 비합법적 조직을 이끄는 수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를 통해 정부가 존재하는 이유를 생각해 봅니다. 최승노의 <작은 정부가 답이다>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나레이터: 이선민)..이선민 / 2019.09.16
-
- "성매매가 사라졌어요" 이선민
-
강원대학교 경제. 무역학부(경제학전공)이선민 / 2006.05.10
-
- 대한민국은 공기업 개혁이 절실하다. 이선민
-
2011년이선민 / 2014.04.27
-
- [스토리 시장경제] 밭 속의 금은보화 이선민
-
190819_[스토리 시장경제] 밭 속의 금은보화.mp3우리나라가 갖춘 탄탄한 의료서비스와 저렴한 가격은 흙 속의 금은보화와도 같습니다. 의료관광이 막대한 부를 창출하는 원천이 될 수 있습니다. 최승노의 <작은 정부가 답이다>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나레이터: 이선민)..이선민 / 2019.08.19
-
- [스토리 시장경제] 짐바브웨는 코끼리를 어떻게 보호했을까? 이선민
-
CFE-audioclip-20180831.mp3공유지의 비극을 비극을 막을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일까요? 보다 자세한 내용은 최승노의 <작은 정부가 답이다>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나레이터: 이선민)이선민 / 2018.08.31
-
- [스토리 시장경제]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 이선민
-
CFE-audioclip-20180810.mp3프로크루스테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강도입니다. 길을 지나는 사람들을 붙잡아 침대보다 키가 크면 남는 부분을 잘라내 죽였습니다. 우리 사회의 규제가 고무줄 규제라면 큰 문제입니다. 최승노의 <작은 정부가 답이다>를 참조하기 바랍니다. (나레이터: 이선민)..이선민 / 2018.08.10
-
- [스토리 시장경제] 나를 위해 울지 말아요, 아르헨티나 이선민
-
20180727_아르헨티나.mp31900년대 초만 해도 아르헨티나는 다른 국가들이 롤모델로 삼는 경제 강국이었습니다. 그러나 아르헨티나는 경제적으로 몰락한 국가가 되고 말았습니다. 왜 이렇게 된 것일까요? 보다 자세한 내용은 최승노의 <작은 정부가 답이다>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레이터: 이선민)..이선민 / 2018.07.27
-
- [스토리 시장경제] 이집트는 왜 산업화에 실패했을까? 이선민
-
CFE-audioclip-20180717.mp31805년, 이집트 오토만 제국의 장군이던 무함마드 알리는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았습니다. 그는 산업화를 시도했지만 실패로 끝났습니다. 왜 일까요? 보다 자세한 내용은 최승노의 <작은 정부가 답이다>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레이터: 이선민)..이선민 / 2018.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