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자유시장경제에 바친 평생의 신념…후학들이 잇겠습니다

최승노 / 2020-12-03 / 조회: 17,335       문화일보

박동운(1941~2020)


날씨가 갑자기 쌀쌀해진 11월의 어느 날 아침, 자유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가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는 이 마당에, 참으로 가슴 먹먹한 소식을 들었습니다.


갑작스레 들려온 박동운 교수님의 별세 소식으로 후학들은 황망한 마음에 손발이 후들거렸습니다. 평생 학계에서 올바른 경제학 진리를 설파하시며 후학들을 길러오신 데 이어, 은퇴 후에도 흔들림 없이 자유시장경제가 대한민국 번영의 길이라는 것을 역설해오셨던 교수님의 카랑카랑한 목소리가 지금도 여전히 귓전을 맴돌고 있는데, 이제는 더 이상 신념에 찬 그 가르침을 들을 수 없게 됐다니 이보다 더 황망한 일이 또 어디에 있겠습니까?


교수님께서는 밀턴 프리드먼의 ‘선택할 자유’(Free to choose)를 읽은 것을 계기로 자유시장경제에 빠져들었다고 늘 말씀하셨습니다. 미국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마치시고 귀국해 전남대·단국대 등에서 자유시장경제의 정착을 위해서 대학교에 ‘시장경제’ 과정도 개설하시는 등 후학을 가르치셨습니다. 은퇴 후에도 자유시장경제를 위해 애쓰셨습니다. 특히 자유시장경제에 족쇄를 채우려는 대한민국 작금의 상황을 우려하면서 세계 각국에서의 사례를 들어 대한민국이 잘못된 길을 걷지 않도록 노력하며 헌신하셨습니다.


이 과정에서 30여 권의 책을 냈지만, 그중에서도 마거릿 대처 총리가 영국을 되살린 이야기를 담은 ‘대처리즘 : 자유시장경제의 위대한 승리’,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사회민주당 총리의 하르츠 노동개혁과 대처 총리의 노동자 중심 노동개혁을 다룬 ‘노동시장 개혁은 슈뢰더처럼, 대처처럼’은 대한민국이 다시 번영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금과옥조로 여길 이야기가 담긴 책들입니다.


수많은 교수님의 연구 중 가장 돋보이는 것은 노동시장에 대한 연구입니다. 교수님께서는 늘 노동시장 유연화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해오셨습니다. 자유기업원 ‘자유와 개혁’ 첫 번째 시리즈이기도 한 ‘노동시장 유연성’은 노동시장에 대한 학문적 업적이 고스란히 담긴 역작입니다.


대중에 자유시장경제를 알리려는 노력도 있었습니다. 누구나 쉽게 자유시장경제의 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한 ‘위기의 한국 시장경제가 돌파구다’, 기독교 속의 시장경제를 발견하는 ‘성경과 함께 떠나는 시장경제 여행’은 우리 사회에 자유시장경제의 뿌리를 내리려는 교수님의 열정을 보여주는 저서들입니다. 병마와 싸우시면서도 연구를 멈추지 않으셨습니다. 2019년에도 교수님께서는 한국하이에크소사이어티 학회지인 ‘자유와 시장’에 ‘역대 정부의 가격정책 평가 : 김대중 정부∼문재인 정부’ 논문을 투고하셨습니다. 투병 중에도 자유시장경제를 지키기 위해 연구활동을 지속하신 교수님의 헌신은 우리 모두에게 귀감이 될 것입니다.


비록 교수님께서는 후학들에게 남은 과제의 짐을 지우고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먼 길을 떠나가셨지만 교수님의 정신은 책 속에, 그리고 후학들의 마음속에 메아리로 남아 있습니다. 저희도 교수님의 발자취를 따라 더욱 정진하고 국민, 대중이 경제과학과 자유의 원리 위에 굳건히 설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겠습니다. 이승에서 계획하셨으나 미처 하지 못하셨던 일들은 후학들에게 남겨주시고 편안히 영면하시길 기원합니다.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 TOP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362 징벌적 과징금으로 개인정보보호 못 한다
고광용 / 2025-09-15
고광용 2025-09-15
361 한계기업 퇴출, 대기업 일자리 확대의 시작이다
한규민 / 2025-09-11
한규민 2025-09-11
360 소비자 부담 키우는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 면밀한 검토 필요
고광용 / 2025-09-05
고광용 2025-09-05
359 반복적 폭염과 폭우, 기후변화 조응 고창농업 혁신 불가피
고광용 / 2025-09-05
고광용 2025-09-05
358 반기업적 입법의 연속, 한국경제 활력 위기
고광용 / 2025-09-04
고광용 2025-09-04
357 민간자금 50조 정부가 땡기고, 산은 50조 체권도 결국 국민 빚
최승노 / 2025-09-03
최승노 2025-09-03
356 정년 연장의 함정, 해법은 계속고용제다
최승노 / 2025-09-03
최승노 2025-09-03
355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 영세사업자에게 과중한 짐
김상엽 / 2025-09-03
김상엽 2025-09-03
354 ‘노란봉투법’은 갈등을 제도화한다
최승노 / 2025-08-28
최승노 2025-08-28
353 불법 파업 조장·기업 활동 제약, `노란봉투법` 반기업적 비판 피하기 어려워
고광용 / 2025-08-26
고광용 2025-08-26
352 디지털 화폐, 시장이 이끌며 경쟁과 선택 시스템으로 가야
김시진 / 2025-08-19
김시진 2025-08-19
351 집값 상승, 화폐 가치 하락이 만든 착시 현상
박혜림 / 2025-08-13
박혜림 2025-08-13
350 기업이 사라진다--세계 최고 수준 상속세율 개편 시급
이호경 / 2025-08-06
이호경 2025-08-06
349 세수 늘기는커녕 경제만 위축시켜 재정 위기 자초
최승노 / 2025-07-31
최승노 2025-07-31
348 상법 개정, 균형 잃은 개입이 기업을 위축시킨다
고광용 / 2025-07-31
고광용 2025-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