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보도] 자유경제원, "나라 망치는 포퓰리즘, 그리스 따라가는 한국"

자유경제원 / 2015-02-12 / 조회: 2,520       업코리아
 > 전국종합 > 사회
자유경제원, "나라 망치는 포퓰리즘, 그리스 따라가는 한국"
구창환 기자  |  koocci@naver.com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5.02.10  05:19:59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네이버구글msn
  
 

자유경제원은 2월 9일 (월) 오후 2시 <나라 망치는 포퓰리즘, 그리스 따라가는 한국>을 주제로 복지포퓰리즘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세미나를 개최했다.
 
발제를 맡은 권혁철 소장(자유기업센터 소장)은 “현재 복지수준이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앞으로 25년 혹은 늦어도 35년 후에는 그리스사태가 곧 우리의 현실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보편적 복지 확대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권 소장은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당시 후보자가 야당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보편적 복지를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복지포퓰리즘이 여야 구분 없이 '퍼주기 경쟁’으로 치닫게 되었다”고 지적하였다. 이어 그는 “우리나라의 복지 포퓰리즘의 시발점을 무상급식 논란이 일었던 2010년 지자체장과 교육감 선거가 치러진 해”라고 밝히며 복지포퓰리즘의 역사가 이제 겨우 5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지만 벌써부터 재정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현 실태를 꼬집었다. 

권 소장은 “국회예산처가 최근 내놓은 '2014~2060년 장기재정전망’을 통해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올해 37%에서 2030년 58%로 증가, 35년 뒤인 2050년은 121.3%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이렇게 되면 미래의 국가채무 비율이 현재 그리스 등 남유럽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치를 보일 것”으로 그 심각성을 밝혔다.

“앞으로 25년 후인 2040년경이 되었을 때 그리스와 같이 복지포퓰리즘으로 인한 국가부도 사태를 맞이하게 될 수 있다” 

토론에 나선 김인영 교수(한림대학교 정치행정학과)도 권 소장과 마찬가지로 “지금 상태로 가면 그리스 국가부도와 유사한 사태가 앞으로 25년 혹은 35년 후에는 우리의 현실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정치인의 무능과 부패로 인한 정치실패가 재정위기의 원인 점이 그리스와 상당한 유사점을 가진다”며 모든 비극의 출발을 정치와 정치실패로 보았다.

김 교수는 2050년 경 대한민국이 재정위기 국가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한 권 소장의 의견에 동의하는 한편, “북한의 붕괴 혹은 남북한 통일의 가능성을 배제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또 “독일의 경우 동서독 통일 이후 경제적 여파로 10년이 넘게 경제가 흔들렸다”며, “경제력이 그에 뒤지는 대한민국은 통일 이후 5년 정도만 되어도 각종 비용 지출로 인해 재정위기에 봉착할 것으로 재정위기가 십 년 이상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고 일침을 가했다. 

안재욱 교수(경희대학교 경제학과)는 “그리스뿐만 아닌 과거 복지국가로 갔던 나라들을 통해 검증된 것으로 복지국가로 갔던 국가들 모두 결국 복지제도를 수정하였으며, 수정하지 못한 국가는 위기를 겪었다”면서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지금과 같은 복지제도는 지속 불가능하고 결국에는 경제가 파탄이 날 것”고 강조했다.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9387 [신간] 『법, 경제를 만나다』 재출간... "시장 친화적 법이 번영을 가져온다"
자유기업원 / 2025-07-04
2025-07-04
9386 자유기업원 “주 4.5일제, 법제화보다 유연한 제도 운용 필요”
자유기업원 / 2025-07-02
2025-07-02
9385 자유기업원, 제12호 ‘이슈와 자유’ 발간…“주 4.5일제, 단계적 도입이 바람직”
자유기업원 / 2025-07-02
2025-07-02
9384 자유기업원 "주 4.5일제, 일률적 법제화보다 단계적으로 도입해야"
자유기업원 / 2025-07-02
2025-07-02
9383 2025 하계공동학술대회, 수원 더함파크서 개최… 전국 학계 및 정책현장 전문가 한자리에
자유기업원 / 2025-07-01
2025-07-01
9382 `지속발전 가능한 새 정부의 지역정책은?` 학계와 정책현장 전문가 한자리에
자유기업원 / 2025-07-01
2025-07-01
9381 현대도시의 지속가능성 향한 하계공동학술대회 개최...전국 학계와 정책현장 전문가 한자리에
자유기업원 / 2025-07-01
2025-07-01
9380 ‘지속가능성과 새 정부의 지역정책’ 2025 하계공동학술대회 성료
자유기업원 / 2025-07-01
2025-07-01
9379 1만1,460원 VS 1만70원…자영업자 50% "최저임금 부담 많다"
자유기업원 / 2025-07-01
2025-07-01
9378 `퇴직연금 의무화` 시동…"도입은 시기상조" VS "퇴직금 체불 근절"
자유기업원 / 2025-06-30
2025-06-30
9377 [직설] 소상공인-근로자 갈등…최저임금 파행 구조 이대로 괜찮나?
자유기업원 / 2025-06-30
2025-06-30
9376 자유기업원, 법과 시장의 만남…‘법, 경제를 만나다’ 출간
자유기업원 / 2025-06-30
2025-06-30
9375 자유기업원 “잠재성장률 3% 회복, 제도 개혁 없이는 불가능”…시장중심 구조전환 시급
자유기업원 / 2025-06-27
2025-06-27
9374 [신간] 법경제학 입문서, `법, 경제를 만나다`
자유기업원 / 2025-06-27
2025-06-27
9373 자유기업원·좋은규제시민포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교육개혁과 한국적 시사점` 세미나 개최
자유기업원 / 2025-06-19
2025-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