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대통령, `한은 총재` 이례적으로 에 부른 까닭은?

자유기업원 / 2020-03-13 / 조회: 15,403       데일리안

경제·금융 부처에 "비상경제 시국…전례없는 일 해야"

한은 총재 회의 첫 참석에 한은 금리 인하 개입 우려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를 청와대로 부른 건 경제적으로 함의하는 바가 크다. 문 대통령이 코로나발() 경제금융 위기의 심각성을 자인하고, 비상 대응 체제에 돌입한 것으로 읽히면서다. 한은 총재가 대통령 주재 경제 부처 회의에 처음으로 참석한 것도 이를 방증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1시간 30분가량 청와대에서 경제·금융상황 특별점검회의를 주재했다. 회의에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은성수 금융위원장, 이주열 한은 총재 등이 참석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선언 이후 국내·외 증시가 폭락하는 등 세계 경제 및 금융시장이 대혼란을 겪고 있는 상황에 대한 대응 차원이다.


실제 한국 금융시장 역시 이날 개장 이후 8% 추락했다. 1700선이 무너진 건 2011년 10월 유럽 재정 위기 이후 8년 5개월 만이다. 이에 따라 코스닥 시장에는 서킷브레이커(거래 일시정지)가 발동됐다. 4년 만이다.


미국과 중국은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충격 대응을 위해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기준금리 0.50%p 전격 인하했고, 인민은행은 조만간 은행 지급준비율 인하 카드를 꺼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유럽연합(EU), 영국, 일본 등 주요국도 추가적인 통화 완화 정책을 예고한 상태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경제 정책을 하는 분들은 과거의 비상상황에 준해서 대책을 생각하는 경우가 있으나 지금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는 비교가 안 되는 비상 경제시국"이라고 우려하며 "과거 사례와 비교는 할 수 있으나 그때와는 양상이 다르고 특별하니 전례 없는 일을 해야 할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전 세계의 경제·금융 흐름에 발 맞춰 기존보다 폭이 큰 경기 부양책을 내놔야 한다는 주문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의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지만, 한은에 금리 인하를 주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코로나19 경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추가경정예산안이 편성돼 있지만, 이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국민의 어려움을 헤아리고, 일을 어떻게든 국민의 편에서 해결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고 했다.


다만 한은이 '독립성' '중립성'을 띄는 기관이라는 점에서 문 대통령이 경제 부처 회의에 한은 총재를 부른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가 한은 금리 결정 개입을 시도했다는 것으로 비쳐질 수 있어서다.


최승노 자유기업원장은 이날 통화에서 "한은의 고유한 업무가 있고 역할이 있는데, 문 대통령이 한은 총재를 청와대로 부른 건 금리 인하 개입 등의 오해의 소지가 있다"며 "한은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상황의 어려움, 경제 붕괴 가능성, 소비 절벽 현상 등을 인지하고 이에 맞는 통화 정책을 하고 있는데, 기재부를 벗어나서 청와대까지 나서서 한은 총재를 불러서 얘기하는 건 한은의 독립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도 "한은의 독립성을 훼손하고도 대통령 주재 회의에 한은 총재를 부른 건 그만큼 경제 상황이 심각하다는 게 표출된 것"이라고 말했다.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8781 "수탁위, 대표소송 남발 불보듯…이사회 보신주의만 부추길 것"
자유기업원 / 2022-02-07
2022-02-07
8780 “위헌적 요소 다분한 중대재해법, 입법보완 시급”
자유기업원 / 2022-01-19
2022-01-19
8779 "중대재해법은 경영책임자를 처벌하는 등 연좌제적 형법"
자유기업원 / 2022-01-19
2022-01-19
8778 최준선 교수 "최태원 지분 인수, 공정거래법 위반 아니다"
자유기업원 / 2021-12-23
2021-12-23
8777 `실트론 부당이익` 최태원 과징금 16억원
자유기업원 / 2021-12-22
2021-12-22
8776 최태원 ‘책임경영’ 발목…재계 “기업 투자 위축” 반발
자유기업원 / 2021-12-22
2021-12-22
8775 자유기업원 "SK실트론 사건,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는 부당...명확한 위법성 기준 내놓아야"
자유기업원 / 2021-12-22
2021-12-22
8774 최태원, 검찰고발-지분매각 피했지만...법적 대응 예고
자유기업원 / 2021-12-22
2021-12-22
8773 "SK실트론 사건 과징금 부과, 기업경영 과도한 개입"
자유기업원 / 2021-12-22
2021-12-22
8772 검찰 고발 피한 최태원… 재계 “총수 지분 인수, 상법·공정거래법 이중 규제”
자유기업원 / 2021-12-22
2021-12-22
8771 공정위, 최태원 회장·SK에 과징금 총 16억원 부과..."SK실트론 주식 인수 중 사업기회 제공"
자유기업원 / 2021-12-22
2021-12-22
8770 자유기업원, 공정위의 SK실트론 사건 제재 결정 `부당하다` 논평
자유기업원 / 2021-12-22
2021-12-22
8769 "최태원 회장의 SK실트론 지분 인수, 무혐의 판결해야"
자유기업원 / 2021-12-21
2021-12-21
8768 글로벌 위기 극복 광폭 행보…최태원 SK회장 `발목` 잡지 말아야
자유기업원 / 2021-12-21
2021-12-21
8767 최준선 성대 교수 "SK실트론 사건, 사업기회 아닌 책임경영"
자유기업원 / 2021-12-21
202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