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아래 기사를 요약 번역한 내용임*
Randall Holcombe, “Piketty’s Capital: III,” The Independent Institute, May 2014
최근에 베이컨에 올린 포스트에서 나는 토마스 피케티의 책 “21세기 자본론”에 나와있는 “자본주의의 제 1법칙”에 대해서 반박했다. 21세기 자본론은 자본의 가치와 자본에 의한 수익의 인과 관계를 반대로 묘사했다. 자본수익을 a, 자본수익률을 r, 자본가치를 B로 나타내면서, 피케티는 자본가치와 수익률의 곱은 자본수익률과 같다고 주장했다.
(a=r*B)
사실 자본가치는 수익률에 의해 정해진다 그래서 수학적으로는 같다고 볼 수 있지만, 경제적으로 피케티의 공식을 다시 수정하자면 자본가치(B)는 자본수익(a)/자본수익률 (r)이다. (B=a/r) 회계적으로 피케티의 공식은 정확하다. 하지만 내가 수정한 공식은 더 정확한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나의 공식은 a의 역할과 r의 역할에 대해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피케티는 자본으로부터 얻어진 자본의 가치와 소득의 가치를 모두 총소득의 일부분으로 정의했다. 그래서 그는 B를 자본가치/소득, 그리고 a를 총소득의 일부인 자본소득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여기서 양쪽 면을 모두 소득으로 곱해버리고, B를 자본스톡의 가치로, a를 소득으로 나타낼 수 도 있다.
피케티는 리스크가 더 큰 투자는 더 높은 수익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그의 실증적인 분석과 관계가 없다. 자본가들의 자본을 위태롭게 만들고 그들의 어떤 수익률도 보장하지 못하는 그 아이디어는 관심을 끌 수 없다. 내가 전에 올린 포스트에서 말했던 것처럼 자본가들이 자본으로부터 얻은 소득은 그들의 투자활동이 얼만큼의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것이냐에 달려있다.
내가 수정한 공식 B=a/r를 보면, 자본수익인 a가 증가하면 자본의 가치인 b도 오를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본가치는 소득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여기서 소득은 가치에 의존한다. 하지만 피케티는 이것을 반대로 서술했다.
피케티는 자본수익률이 상당히 오랫동안 안정화 추세에 있었다고 하고, 나 또한 이 일반화의 방식은, 형식화된 역사적 사실로써, 논란거리가 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공식에 의하면 경제환경이 더욱 위태로워질 수록, 즉 자본가들이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면, 소득이 일정한 상태이더라도 자본가치는 하락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식적으로 공식은 자본을 소유하는 것의 리스크가 크다면 그 자본은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번역: 조성환 자유경제원 인턴
출처: <원본보기>
NO. | 제 목 | ![]() |
글쓴이 | 등록일자 |
---|---|---|---|---|
107 | 불평등과 자본, 그리고 피케티의 문제점 David Gordon / 2018-02-07 ![]() |
![]() |
||
106 | 스마트 전기압력솥과 자본주의의 핵심에서 공감이 어떻게 존재하는가 Barry Brownstein / 2018-02-02 ![]() |
![]() |
||
105 | 자유주의적 이민 이론 (1) Jesus Huerta de Soto / 2018-02-01 ![]() |
![]() |
||
104 | 드론 구조가 혁신적인 항공기 비상을 돕는다 Teresa Mull / 2018-01-30 ![]() |
![]() |
||
103 | 비트코인이 너무 많은 전기를 쓰고 있는걸까? Robert P. Murphy / 2018-01-30 ![]() |
![]() |
||
102 | 자선의 일종으로서의 자본 F.A. Harper / 2018-01-26 ![]() |
![]() |
||
101 | 최저임금법은 많은 희생을 동반한다 Aayush Priyank / 2018-01-22 ![]() |
![]() |
||
100 | 자본주의에 대한 오해 4가지 James Davenport / 2018-01-15 ![]() |
![]() |
||
99 | 학교를 선택하는 것은 미용실을 선택하는 것처럼 쉬운 일이어야 한다 Teresa Mull / 2018-01-05 ![]() |
![]() |
||
98 | 연방정부는 어떻게 의료산업을 망쳐놓았는가? Alice Salles / 2018-01-03 ![]() |
![]() |
||
97 | 세이의 법칙 바로알기 Steven Horwitz / 2017-12-28 |
|||
96 | 공화당의 세제안은 국익에 도움이 된다 Tommy Binion / 2017-12-26 |
|||
95 | 싱가폴 성장모델은 짐바브웨를 구할 수 있을까 Steve H. Hanke / 2017-12-22 |
|||
94 | 비트코인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 것 Jeffrey A. Tucker / 2017-12-18 |
|||
93 | 우리는 이스라엘의 실패한 자유화 시도로부터 배워야한다 Ariel Lighterman / 2017-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