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아래 기사를 요약 번역한 내용임*
Randall Holcombe, “Piketty’s Capital: III,” The Independent Institute, May 2014
최근에 베이컨에 올린 포스트에서 나는 토마스 피케티의 책 “21세기 자본론”에 나와있는 “자본주의의 제 1법칙”에 대해서 반박했다. 21세기 자본론은 자본의 가치와 자본에 의한 수익의 인과 관계를 반대로 묘사했다. 자본수익을 a, 자본수익률을 r, 자본가치를 B로 나타내면서, 피케티는 자본가치와 수익률의 곱은 자본수익률과 같다고 주장했다.
(a=r*B)
사실 자본가치는 수익률에 의해 정해진다 그래서 수학적으로는 같다고 볼 수 있지만, 경제적으로 피케티의 공식을 다시 수정하자면 자본가치(B)는 자본수익(a)/자본수익률 (r)이다. (B=a/r) 회계적으로 피케티의 공식은 정확하다. 하지만 내가 수정한 공식은 더 정확한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나의 공식은 a의 역할과 r의 역할에 대해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피케티는 자본으로부터 얻어진 자본의 가치와 소득의 가치를 모두 총소득의 일부분으로 정의했다. 그래서 그는 B를 자본가치/소득, 그리고 a를 총소득의 일부인 자본소득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여기서 양쪽 면을 모두 소득으로 곱해버리고, B를 자본스톡의 가치로, a를 소득으로 나타낼 수 도 있다.
피케티는 리스크가 더 큰 투자는 더 높은 수익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그의 실증적인 분석과 관계가 없다. 자본가들의 자본을 위태롭게 만들고 그들의 어떤 수익률도 보장하지 못하는 그 아이디어는 관심을 끌 수 없다. 내가 전에 올린 포스트에서 말했던 것처럼 자본가들이 자본으로부터 얻은 소득은 그들의 투자활동이 얼만큼의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것이냐에 달려있다.
내가 수정한 공식 B=a/r를 보면, 자본수익인 a가 증가하면 자본의 가치인 b도 오를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자본가치는 소득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여기서 소득은 가치에 의존한다. 하지만 피케티는 이것을 반대로 서술했다.
피케티는 자본수익률이 상당히 오랫동안 안정화 추세에 있었다고 하고, 나 또한 이 일반화의 방식은, 형식화된 역사적 사실로써, 논란거리가 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공식에 의하면 경제환경이 더욱 위태로워질 수록, 즉 자본가들이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면, 소득이 일정한 상태이더라도 자본가치는 하락한다고 볼 수도 있다. 상식적으로 공식은 자본을 소유하는 것의 리스크가 크다면 그 자본은 가치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번역: 조성환 자유경제원 인턴
출처: <원본보기>
NO. | 제 목 | ![]() |
글쓴이 | 등록일자 |
---|---|---|---|---|
86 | 당신의 우편배달원은 Amazon에서 일한다 Jeffrey A. Tucker / 2017-11-22 |
|||
85 | 사람들은 IPhone X에 불평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것이 혁신이 일어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Iain Murray / 2017-09-25 |
|||
84 | Amazon도 결국은 몰락할 것이다 – 그리고 그건 좋은 것이다 Iain Murra / 2017-09-13 |
|||
83 | 좀비기업 증가, 무엇이 문제인가 Daniel Lacalle / 2017-09-05 |
|||
82 | 자동화(Automation)는 우리를 궁핍하게 만들 것인가 Aaron Bailey / 2017-02-01 |
|||
81 | 지나친 규제, 지역에서 사랑 받는 레스토랑을 문닫게 하다 Brittanry Hunter / 2017-01-20 |
|||
80 | 사회주의는 전쟁보다 더 많은 아이들을 죽였다 Chelsea Follett / 2016-12-12 |
|||
79 | `낙수효과`란 경제이론은 없다 Steven Horwitz / 2016-11-30 |
|||
78 | 미국의 경제적 자유는 16년 동안 감소하고 있다 Daniel J. Mitchell / 2016-09-30 |
|||
77 | 루이지애나 주에서 민간 재난 구조가 정부를 능가하다 Kevin Boyd / 2016-09-13 |
|||
76 | 간섭주의: 소비자들에 맞서는 정부의 전쟁 Ludwig von Mises / 2016-09-07 |
|||
75 | 왜 미국인들 다섯 명 중 한 명은 정부 지원을 받고 있는가 Lawrence J / 2016-09-02 |
|||
74 | 더 높은 임금을 받기 위한 쉽고 잘못된 해결방안 James Shert / 2016-08-09 |
|||
73 | 자유주의자 미제스가 베네수엘라에게 주는 조언 Tho Bishop / 2016-08-04 |
|||
72 | 당황하지 마라. 브렉시트는 국제 질서를 무너뜨리지 않을 것이다 A. Trevor Thrall / 2016-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