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10명중 6명은 트위터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장경제 전문 연구기관 자유기업원은 대학생 520명(대학시장경제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지난 9~10 이틀간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조사결과, 하루 중 트위터 사용 시간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 520명 가운데 61.1%(317명)가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30분 이내’ 24.1%(125명), ‘30분 이상 1시간 이내’ 9.2%(48명), ‘1시간 이상 3시간 이내’ 5.2%(27명), ‘3시간 이상’ 0.6%(3명)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
또한 인맥구축서비스(SNS, 트위터?페이스북 등)를 통해 얻은 정보에 의문이 생기거나 상충되는 정보를 접했을 때 사실 확인을 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 중 58.0% (301명)는 ‘한다’, 42.2%(219명)은 ‘안한다’고 답했다.
응답자 520명 중 57.2% 297명은 ‘인터넷’을 통해 사회현안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문?방송’을 택한 응답자는 36.0%(187명)이며 ‘SNS‘는 2.7%(14명)에 불과했다.
정보를 얻는 경로의 신뢰도를 조사한 결과 ‘신문?방송’의 신뢰도가 10점 만점에 6.46로 ‘전문자료’(7.53)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어 ‘인터넷’ 5.54, ‘주변사람’ 5.21로 각각 집계됐으며 ‘SNS‘는 4.62로 신뢰도가 가장 낮았다.
‘트위터가 우리 사회에 얼마나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3.2%(276명)은 ‘상당히 또는 강력히 미치고 있음’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 44.1%(229명)은 ‘다소 미치고 있음’, 2.9%(15명)은 ‘전혀 미치지 않음’이라고 각각 답했다.
반면 트위터가 응답자 개인에게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묻는 질문에 45.3%(235명)는 ‘다소 미치고 있음’, 43.0%(223명)은 ‘전혀 미치지 않음’이라고 답했다.
이어 9.2%(48명)은 ‘상당히 미치고 있음’, 2.7%(14명)은 ‘강력히 미치고 있음’이라고 답했다.
한편, 대학시장경제강좌(http://lecture.cfe.org)는 자유기업원이 전국 30여개 대학과 협약을 맺고 개설한 ‘시장경제의 이해’라는 정규학점 강좌다.
/win5858@fnnews.com 김성원기자
NO. | 제 목 | ![]() |
등록일자 |
---|---|---|---|
9393 | ![]() 이호경 / 2025-07-15 |
||
9392 | ![]() 자유기업원 / 2025-07-15 |
||
9391 | ![]() 자유기업원 / 2025-07-15 |
||
9390 | ![]() 자유기업원 / 2025-07-14 |
||
9389 | 자유기업원, ‘공공부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이해’ 발간…북콘서트 개최 자유기업원 / 2025-07-10 |
||
9388 | 자유기업원, ‘공공부채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이해’ 출간 기념 북콘서트 개최 자유기업원 / 2025-07-10 |
||
9387 | [신간] 『법, 경제를 만나다』 재출간... "시장 친화적 법이 번영을 가져온다" 자유기업원 / 2025-07-04 |
||
9386 | 자유기업원 “주 4.5일제, 법제화보다 유연한 제도 운용 필요” 자유기업원 / 2025-07-02 |
||
9385 | 자유기업원, 제12호 ‘이슈와 자유’ 발간…“주 4.5일제, 단계적 도입이 바람직” 자유기업원 / 2025-07-02 |
||
9384 | 자유기업원 "주 4.5일제, 일률적 법제화보다 단계적으로 도입해야" 자유기업원 / 2025-07-02 |
||
9383 | 2025 하계공동학술대회, 수원 더함파크서 개최… 전국 학계 및 정책현장 전문가 한자리에 자유기업원 / 2025-07-01 |
||
9382 | `지속발전 가능한 새 정부의 지역정책은?` 학계와 정책현장 전문가 한자리에 자유기업원 / 2025-07-01 |
||
9381 | 현대도시의 지속가능성 향한 하계공동학술대회 개최...전국 학계와 정책현장 전문가 한자리에 자유기업원 / 2025-07-01 |
||
9380 | ‘지속가능성과 새 정부의 지역정책’ 2025 하계공동학술대회 성료 자유기업원 / 2025-07-01 |
||
9379 | 1만1,460원 VS 1만70원…자영업자 50% "최저임금 부담 많다" 자유기업원 / 202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