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9년 10월 24일 바로 암흑의 목요일!
뉴욕주식거래소 주가가 대폭락한 데서 발단된 '대공황' 다들 잘 아실 텐데요.
사실 '대공황'은 미국의 연준(Fed)이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대공황에 대한 너무 많은 오해들이 사람들의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쳤죠.
그렇다면 과연 연준(Fed)의 어떤 정책 실패로 이렇게 큰 슬럼프가 왔는지,
프리드먼은 어떤 주장을 했는지 지금 알아보시죠!
▶ 서점 바로가기(선택할 자유): https://bit.ly/3NmW88v
▶ 제작: 시장경제 싱크탱크 자유기업원
▶ 후원하러 가기: https://cfe.org/info/sponsor.php
#선택할자유 #연방준비제도 #대공황
-

스포츠스타의 몸값, 과연 적정한가?|스포츠경제학|이영훈 교수
-

한 지붕 및 오스트리아 학파와 시카고 학파|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
-

KBO&MLB의 구단 비즈니스 차이|스포츠경제학|이영훈 교수
-

빌보드 차트에서는 어떤 곡이 대박이 날까?|뮤직코노믹스|지인엽 교수
-

하이에크의 생애와 몽펠르랭 소사이어티(MPS) 설립|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
-

스포츠 경제학이란 무엇인가?|스포츠경제학|이영훈 교수
-

애덤 스미스의 강좌에서 도덕감정론의 위치는?|도덕감정론|김승욱 교수
-

유튜브가 없었다면 저스틴 비버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뮤직코노믹스|지인엽 교수
-

애덤 스미스에게 도덕감정론이란?|도덕감정론|김승욱 교수
-

자유주의 시장경제는 왜 좋은가?|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
-

음악이 비싸지더라도 음악, 들으시겠습니까?|뮤직코노믹스|지인엽 교수
-

도덕감정론은 왜 중요한걸까?|도덕감정론|김승욱 교수
-

자유주의 시장경제는 왜 좋은가?|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
-

집에 있는 시간이 길수록 사람들은 음악을 더 많이 들을까?|뮤직코노믹스|지인엽 교수
-

자유주의 사상의 변천사와 시대적 주요 인물|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
-

자유, 자유주의, 민주주의, 그리고 자유시장경제|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