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선택론은 사실에 바탕을 두고 정치인과 관료를 분석합니다⚠︎
■ 제2강 공공선택론이란: 기본 가정
00:37 프롤로그(공공선택론의 뿌리)
01:31 공공선택론의 기본 가정(assumption)들
02:17 공공선택론의 첫 번째 가정(방법론적 개인주의)
10:07 공공선택론의 두 번째 가정(경제인간/합리적 선택)
15:49 공공선택론의 세 번째 가정(교환으로서의 정치)
■ 공공선택론 바로가기: https://bit.ly/3gRD1or
-

입국하려면 최소 300달러 외국인 전용 화폐로 교환해야 하는 나라
-

한국은 OO만 해라, 일본은 OO만 하지 마라
-

못 사는 나라는 규제로, 잘 사는 나라는 돈으로 해결한다
-

법안 한 건당 심사 시간 평균 9분❗︎❓︎ 규제 법안 찍어낸 20대 국회
-

세계 최초의 규제는 ○○○ 여기에서 시작되었다
-

아직도 만들어진지 30년 넘은 규제가 10.3%로 298개❗︎
-

타다는 왜 안 되나요❓︎만드는 사람 따로 지키는 사람 따로인 현실
-

2010년 청목회 입법로비 사건은 왜 일어났을까❓︎
-

공공선택론 입문 제10강|정치시장론: 공공선택론의 정치이론
-

공공선택론 입문 제9강|정치시장론: 투표 행태
-

공공선택론 입문 제8강|정치시장론: 정치시장과 정치인
-

공공선택론 입문 제7강|지대추구론: 지대추구행위의 메시지
-

공공선택론 입문 제6강|지대추구론: 부의이전과 정부규제
-

공공선택론 입문 제5강|지대추구론: 지대추구란 무엇인가
-

공공선택론 입문 제4강|정부실패에 대하여: 정부실패론
-

공공선택론 입문 제3강|정부실패에 대하여: 시장실패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