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nomic and Policy Uncertainty and the Opacity of Financial Reporting
-
글쓴이
차상권 2025-10-14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인문사회과학연구)> 게재
저자: 황선필, 차상권
▶ 초록
본 연구는 경제적 불확실성(EPU, NEPU)이 기업의 재무보고 불투명성(OPAQUE)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Hutton et al.(2009) 및 박종일·전규안(2017)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재무보고의 불투명성을 측정하고,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그리고 기업의 지배구조 수준(ESG G 점수)에 따른 차별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제적 불확실성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재무보고 불투명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코스닥시장 재무 보고의 불투명성이 불확실성에 더욱 취약함을 보였다. 셋째, 기업 지배구조 수준(High vs. Low Governance Score)에 따른 분석 결과, 지배구조가 낮은 기업에서 불확실성이 증가할수록 재무보고 불투명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수한 지배구조를 갖춘 기업들은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도 회계 품질을 유지할 유인이 있으나,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은 불확실성이 증가할수록 재무보고의 일관성이 낮아지고 변동성이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경제적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 코스닥시장 및 지배구조가 취약한 기업의 경우 더욱 불안정한 회계 관행을 보일 가능성이 크므로, 이에 대한 공시 규제 및 회계 감시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경제적 불확실성과 재무보고 불투명성 간의 실증적 관계를 분석하여 경제 전반의 요인이 재무 보고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으며, 기업 특성에 따른 차별적 영향을 검토함으로써 기업 지배구조 및 시장별 특성을 고려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재무보고의 품질을 측정하는 대체적 방법을 적용한 추가분석을 수행하거나, 기업별 지배구조 특성을 정교하게 반영할 수 있는 변수를 활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주제어: 경제적 불확실성, 재무 보고의 불투명성, 회계품질, 재량적발생액, 이익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