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 자유경제원
- 자료를 준비중입니다.
-
- [보도]건국 68주년, 탈북자들이 바라 본 대한민국 자유경제원
-
자유경제원 / 2016.08.03
-
- [보도]탈북시인 장진성, "대한민국 건국 부정하는 北이 체제유지에 악용한다" 자유경제원
-
북한이 대한민국 건국을 왜 부정하고 이를 체제유지에 어떻게 악용하고 있는지 탈북시인 장진성 네덜란드 Leiden대학교 석좌교수가 소상히 밝혔다.자유경제원 / 2016.08.03
-
- [보도]<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8:00 자유경제원
-
■ "고기+소주+식사에 2만9천900원"…김영란법 대책상품 속속 등장자유경제원 / 2016.08.03
-
- [보도]인천상륙작전, 평점테러 딛고 일어선 웰메이드 영화 자유경제원
-
이제 `인천상륙작전` 차례다"흥 그거 다 미국 자국 국익 때문이거든요? 한반도가 전략적 요지거든요?"자유경제원 / 2016.08.03
-
- [보도]대중문화의 눈으로 본 대한민국 건국 후 68년 자유경제원
-
자유경제원 / 2016.08.04
-
- [보도][전원책의 새論 새評] 누가 상앙인가? 자유경제원
-
강한 법 시행으로 진나라 강국 만든 상앙끝내 자신이 만든 법에 비참한 최후 맞아이해충돌방지 조항 없어진 ‘김영란법’부패 싹 자를 힘 없는 누더기 법에 불과자유경제원 / 2016.08.04
-
- 이건희와 삼성신화③-소니와 애플 앞지른 '초일류 경영' 자유경제원
-
자유경제원은 2014년 하반기부터 기업가연구회를 통해 우리나라와 세계를 호령한 기업인들의 기업가정신을 연구하고 발표해왔다. 김인영 한림대 정치행정학과 교수는 지난 25일 자유경제원 리버티홀에서 열린 기업가연구회 5기에서 삼성을 세계적 기업집단으로 만든 이건희 회장에 관해 발표했다. 김인영 교수는 삼성의 ..자유경제원 / 2016.08.01
-
- 중국의 도시개발과 시진핑의 위험한 '계획 자본주의' 자유경제원
-
중국의 `계획적 자본주의`는 부를 손실시킨다많은 사람들은 중국의 대규모 건축 붐을 보고 중국이 경제 호황을 겪고 있다고 착각을 한다. 중국의 건축 붐은 겉으로는 중국의 부유함과 경제적 성장에 대한 좋은 인식을 심어주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신도시들에 새로 지은 아파트와 빌딩들은 텅텅 비어있고, 그에 대..자유경제원 / 2016.08.02
-
- [보도]건국 68년 현주소와 나아가야 할 길 자유경제원
-
오는 8월15일 건국 68주년을 앞두고 대한민국의 현주소를 짚어보는 세미나가 자유경제원(원장 현진권) 주관으로 4일 오후 마포구 자유경제원 회의실에서 열렸다.자유경제원 / 2016.08.05
-
- [보도]건국 68년, 한국은 과연 '국가건설'에 실패했나? 자유경제원
-
자유경제원 / 2016.08.05
-
- [보도]인천상륙작전, 좌파 점령 예술판 관객이 심판하다 자유경제원
-
`좌파 예술가`들의 이중성대학에서 연기를 전공했다. 필자가 재학했던 대학의 특성은 다른 학교의 특성과 다르게 연극 전공자와 영화 전공자가 자유롭게 교류가 가능한 곳이었다. 영화 연출 전공으로 입학을 했어도 본인의 의지만 있다면 연극을 할 수 있었고, 노력여하에 따라 배우까지 할 수 있는 곳이었다. 때문에 필..자유경제원 / 2016.08.05
-
- [보도]'영화 인천상륙작전, 왜 봐야하나' 토론회 자유경제원
-
영화 `인천상륙작전’이 평론가들로부터 낮은 평점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관객들로부터는 높은 평점과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다. 이 같은 평론가와 관객들의 엇갈린 평가를 두고, 5일 자유경제원(원장 현진권)은 전문가 토론을 열고 현 상황을 진단했다...자유경제원 / 2016.08.06
-
- [보도]영화 '인천상륙작전' 꼭 봐야 하는 이유 자유경제원
-
자유경제원 / 2016.08.06
-
- [보도]자유민주주의·경제번영 양립 '작은 정부'가 답이다 자유경제원
-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는 양립할 수 있다- `제한된 정부`를 만들어 `번영의 길`로 가야I. 자유민주주의자유경제원 / 2016.08.06
-
- [보도]브렉시트를 바라보는 세가지 잘못된 관점 자유경제원
-
당황하지 마라. 브렉시트는 국제 질서를 무너뜨리지 않을 것이다1989년, 정치학자 Francis Fukuyama는 `역사의 종언’을 선언한다. 당시는 냉전 종식이 다자유경제원 / 2016.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