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

- 김경훈
- 자료를 준비중입니다.
-
- 하이에크 사상의 현대적 조명 김경훈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F. A. Hayek)는 제한된 정부와 법의 지배에 입각한 자유주의를 강력하게 옹호했으며, 무정부(아나키)를 비판적으로 바라보았다.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을 통달하며 정부의 위험성을 누구보다 잘 이해했던 하이에크는, 역설적으로 정부의 테두리 없이 자유사회의 실현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김경훈 / 2020.05.11
-
- 자유사회에서 ‘n번방 사건’은 어떻게 처리가 될까 김경훈
-
사회적으로 현재 큰 논란이 되고 있는 사안을 다루는 글이므로, 시작하기에 앞서 몇 가지를 공지하고자 한다.1. 필자는 전문적인 학문적 훈련을 받지 못했으며, 오스트리아학파를 비롯한 모든 분야에 대한 비전문가이다. 즉, 이 글은 오스트리아학파의 논리를 빌리고 있음에도, 명백한 오스트리아학파 견해라 보기 어려울..김경훈 / 2020.04.02
-
- 성공한 기업가는 자유시장에 해악을 가져올 수 있다 김경훈
-
기업가정신은 사회의 영속적인 번영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이다. 민간 자본 투자의 확대를 이끌고 생산과 저축을 촉진하며 더 많은 사회적 부를 가져다주는 기업가들은 분명 자유시장 경제와 자유주의 사회의 선봉장으로 활약하곤 한다.그리하여 많은 자유주의자가 기업가와 기업가정신을 칭송한다. 소설가 아인 랜드는 기..김경훈 / 2020.03.13
-
-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의 철학사적 위치 김경훈
-
오늘날 사회과학에서 철학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사례는 적지 않다. 그러나, 대체로 그러한 시도는 철학계에서 이미 개발된 이론을 입맛대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다분하다. 스스로의 철학적 기초를 독립적으로 계발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는 거의 유일한 학파는 오스트리아학파이다. 오스트리아학파는 분명 경제학으로 출..김경훈 / 2020.02.27
-
- 오스트리아학파 '행동 공리'에 대한 흔한 오류 김경훈
-
오스트리아학파의 `행동 공리`, 즉 "인간은 목적을 가지고 의식적으로 행동한다" 라는 명제에는 매우 많은 오해가 있다.오스트리아학파에 따르면, 이 명제는 `비가언적` 진리에 해당한다. 즉 특정한 조건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전제도 필요로 하지 않는, 보편타당하고 절대적인 객관적 사실"이다. (이것이..김경훈 / 2020.02.11
-
- 경제위기의 ‘보이지 않는’ 원인 김경훈
-
미제스 연구소의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자 마크 손튼(Mark Thornton)은 2015년작 영화 `빅 쇼트`를 지금까지 `자본주의`를 다룬 모든 할리우드 영화 중에서 가장 사실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며 높게 평가했다. 모기지저당증권(MBS)과 부채담보부증권(CDO) 등 2007-8년 세계 금융위기 이전 미국 금융시장의 왜곡된 상품이 ..김경훈 / 2020.01.28
-
-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은 유사과학인가? 김경훈
-
제임스 M. 뷰캐넌(James M. Buchanan)과 고든 털럭(Gordon Tullock)이 설립한 `공공선택론(public choice theory)`의 `무정부-자본주의(anarcho-capitalism)`적 함의를 연구하는 저명한 경제학자 브라이언 캐플런(Bryan Caplan) 조지메이슨 대학교 교수는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이 실질적으로 `메타-경제학(meta-economic..김경훈 / 2020.01.02
-
- 저작권은 권리가 아니다 김경훈
-
대략 15년 전에 국내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달빛천사’라는 일본 애니메이션이 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매우 큰 인기를 끌었던 작품인데, 당시에 어린 시절을 보냈던 지금의 20대 초·중반 세대가 상당한 규모의 소비력을 확보했기 때문인지, 지난 9월에 해당 작품의 국내 더빙판 사운드트랙을 앨범으로 발매하고자 ..김경훈 / 2019.12.05
-
- 엄밀한 경제학이 연역과학이라는 것의 의미 김경훈
-
필자가 이 글에서 경제학이 연역과학임을 구체적으로 논증하려는 것은 아니다. 만약 경제학이 (오스트리아학파의 주장대로) ‘선험적 공리에 입각한 연역적 추론을 통해 개발되는 학문’임을 받아들인다면, 어떤 논리적 결론에 도달하는 것이 가장 ‘수행 모순(performative contradiction)’과 무관한지를 고찰해보..김경훈 / 2019.11.28
-
- 자유주의자의 수행모순 김경훈
-
80년대 말 혜성같이 나타난 한스-헤르만 호페(Hans-Hermann Hoppe) 교수는 자유주의(Libertarianism)를 송두리째 바꿔버린 일대의 지적 혁명을 일으킨 바 있다. 유명한 마르크스주의 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Jurgen Habermas) 문하에서 수년간 철학 전반을 학습한 호페는, 칸트(Immanuel Kant)와 하버마스의 합리주의 철..김경훈 / 2019.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