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18일. 2050 탄소중립위원회가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최종안’을 발표했다.
NDC 상향안은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감축하는 것으로 목표를 상향 조정하는 내용이다.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2050년에는 석탄 및 LNG 발전을 완전 금지하고 재생에너지 비율을 70.8%까지 늘리는 완전한 탄소중립 방안(A안)과 LNG 발전 5%, 재생에너지는 60.9%까지 늘리는 절충적 방안(B안) 두 가지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발표 내용에 연일 과학계와 산업계, 정치계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다. 첫째, 우리의 관련 과학기술이 아직 미비하다는 점이다. 정부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제시한 CCUS(이산화탄소 포집, 활용, 저장 기술)와 무탄소 가스터빈, 수소환원제철 등의 신기술은 아직 실험 단계에 머물러 있다.
상용화할 만큼 안전성과 경제성이 확보되었는지는 아직 알 수 없다는 의미이다. 심지어 대체 물질이 없는 반도체 공정의 핵심 재료인 불화수소에 대해서도 무작정 ‘사용량 78% 감축’을 통보했다.
정부는 획기적으로 탄소를 줄일 수 있는 적절한 기술이 아직 발명되지 않았는데도 “탄소 배출 제로(0)로 만들 수 있다. 안되면 공정을 멈춰서라도 되게 해야 한다”고 선언한 셈이다.
둘째, 기업에 혼란을 야기한다. 당장 기존의 탄소중립기본법에서는 2030년 NDC가 35%였지만 이번 결정으로 인해 갑자기 40%로 높아졌다. 게다가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하나로 확정하지 않고 두 가지 상황을 애매하게 가정했다.
이처럼 손바닥 뒤집듯 바뀌는 정부 정책 속에서, 기업은 전략 수립 과정에서 막대한 규제 리스크를 안게 된다.
그로 인해 기업은 큰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근로자와 소비자에게 돌아갈 것이다.
셋째, 비용에 대한 고려가 없다. 기업이 탄소중립을 위해 부담해야 할 비용에 대해서는 정부가 어떤 대책도 마련하지 않았다. 당장 수소환원제철 기술의 선두주자로 꼽히는 포스코 조차도 기존 고로를 모두 바꾸는 데 40조원이 들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순전히 규제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이다. 기업이 비용에 대한 부담을 전부 떠안게 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것은 해 주고, 못 해준다면 규제를 해제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환경 문제는 대단히 중요하다. 하지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실에 부합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효용과 비용도 반드시 함께 고려해야 한다. 산업계의 실정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명분을 앞세워 규제를 몰아붙여서는 곤란하다. 그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기업과 국민에게 돌아갈 뿐이다.
현 정부가 추진하는 탄소중립 계획은 기업계에 타격을 줄 수 있는 무리한 정책이다. 감축량을 미리 정해놓고 거기에 무조건 맞추려 할 게 아니다. 정부는 관련 기술의 개발 현황, 목표 달성에 소모되는 비용, 기업에 가해질 수 있는 리스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리적인 정책을 다시 내놓아야 할 것이다.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NO. | 제 목 | ![]() |
글쓴이 | 등록일자 |
---|---|---|---|---|
348 | 상법 개정, 균형 잃은 개입이 기업을 위축시킨다 고광용 / 2025-07-31 |
|||
347 | 규제보다 실험, ‘AI 기본법’ 네거티브 규제로 유연성과 창의성 장려해야 김상엽 / 2025-07-29 |
|||
346 | 대학정책, ‘복제’가 아니라 ‘구조 개혁’이 답이다 최승노 / 2025-07-24 |
|||
345 | 언로를 여는 ‘귀명창’행정이 고창군정을 성공으로 이끈다 고광용 / 2025-07-24 |
|||
344 | 생태계 통제 가능하다고 본 행정 오만이 `러브버그` 혼란 불러와 김시진 / 2025-07-24 |
|||
343 |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혁의 골든타임 놓쳐선 안돼 박혜림 / 2025-07-16 |
|||
342 | "서울대 10개" 아닌 "세계 최고 대학" 탄생의 제도적 환경이 먼저! 고광용 / 2025-07-10 |
|||
341 | ‘모두를 위한 최저임금’이 필요하다 최승노 / 2025-07-09 |
|||
340 | 쌀값 상승, 정부 개입보다 시장 원리에 맡겨야 할 때 이호경 / 2025-07-01 |
|||
339 | 고창 생활인구의 역설과 기회: 사라지는 인구, 모여드는 사람 고광용 / 2025-06-30 |
|||
338 | 기업 자율성 해치는 상법개정안 재추진, 원점 재검토 필요 한규민 / 2025-06-26 |
|||
337 | 기업가정신으로 새롭게 시작하려면 최승노 / 2025-06-23 |
|||
336 | 민생회복지원금, 보편보다 물가 고려 `현명한 선별` 필요 고광용 / 2025-06-17 |
|||
335 | 주 4.5일제 아닌 직무와 성과 중심 임금체계 개편 논의가 우선 김상엽 / 2025-06-17 |
|||
334 | [경제인 열전_최종현 회장] 석유부터 정보통신까지, 도전정신으로 미래 개척 최승노 / 2025-06-12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