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경제 교육을 제대로 받지 않은 대학생들은 절반 가량이 성장보다는 분배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자본주의가 빈곤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유기업원이 한국경제신문 후원으로 지난해 2학기 중 6백여명의 대학생에게 시장경제 교육을 실시한 뒤 수강생들의 인식변화를 설문조사한 결과, 교육 전 대학생들은 자유시장경제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전 설문 결과에 따르면 대상자의 48%가 "자본주의 체제가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더욱 심화 시킨다"고 응답했다.
"정부가 경제성장보다는 복지정책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데 찬성하는 응답도 45%나 됐다.
"시장경제에 전반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21%가 "전혀 모른 다"고 답했다.
"노동조합의 집단행동이 노동자 전체를 위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 문 항목에 41%의 응답자가 "좋다"고 답했으며 정부의 규제에 대해서도 61%가 찬 성 입장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들을 대상으로 13주간 시장경제교육을 실시한 결과 '자본주의 체제의 빈곤 심화에 대한 찬성비율은 27%로 줄었고' , '복지정책 우선(45%)에서 경제 성장이 급선무라는 응답이 79%'로 급증했다.
또 '노조의 집단행동은 노동자 전체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학생도 77%로 늘었으며 '정부 규제에 반대하는 학생도 61%로 증가했다.
자유기업원 김정호 원장은 "시장경제에 대한 대학생들의 잘못된 인식은 경제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데 주된 이유가 있는 만큼 시장경제 원리를 정확히 전달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장경영 기자 longrun@hankyung.com
NO. | 제 목 | ![]() |
등록일자 |
---|---|---|---|
267 | [보도] 교사동아리도 경제교육 나선다 엄남석 / 2004-07-29 |
||
266 | [방송] 기업도시 건설 논란, 어떻게 볼 것인가? 자유기업원 / 2004-07-19 |
||
265 | [사설] 세계 최고 수준의 시장규제 파인낸셜뉴스 / 2004-07-19 |
||
264 | [News] Korea's Economic Freedom Ranking Flat Over 20 Years Seo Jee-yeon / 2004-07-16 |
||
263 | [보도] 한국 경제자유도 세계 95위로 추락 조일훈 / 2004-07-16 |
||
262 | [보도] 한국의 경제자유 세계 31위 이원재 / 2004-07-16 |
||
261 | [보도] 경제자유지수 1단계 하락 123개국 중 31위 조형래 / 2004-07-16 |
||
260 | [보도] 한국 시장규제 세계 95위 최악 윤경호 / 2004-07-16 |
||
259 | [보도] 시장규제 5.3점 95위로 최하위 수준 엄남석 / 2004-07-15 |
||
258 | [방송]토지규제 합리화, 어떻게 볼 것인가? 자유기업원 / 2004-07-02 |
||
257 | [보도]국가 재정파탄 오는가 김형수 / 2004-06-18 |
||
256 | [보도]일자리 창출 함께 노력을 이태명 / 2004-06-10 |
||
255 | [보도]비정규직 양산은 대기업 노조 탓 김형수 / 2004-06-09 |
||
254 | [보도]분양원가 공개 논란 가열 전문가들 원가공개 찬반 조인직 / 2004-06-09 |
||
253 | [보도]국민연금, 땜질식 처방은 곤란 송광섭 / 2004-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