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현장 오늘 '집중진단' - 최영기 한림대 경영학부 객원교수,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안진걸 민생경제연구소 소장
노사정 대표자회의 협약식이 취소됐습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내부 반발로 김명환 위원장이 불참했기 때문인데요. 22년 만의 노사정 대타협도 안갯속에 빠졌습니다. 제1노총 민노총의 책임론이 불거지는 이유입니다. 민노총 강경파 주장의 타당성부터 내년도 적정 최저임금까지 토론해보겠습니다.
Q. 국민은 의사 결정 과정 투명성에 의문을 가질 수 있을 것 같아요?
Q. 민노총 강경파 반발, 이유가 뭡니까? 타당한 주장입니까?
Q. 그동안 김명환 경사노위 참석도 저지했다고요? 노사정 대화에서 명확한 표현이 가능한 겁니까?
Q. 노사정의 사회적 대화 '트라우마', 22년 전 상황으로 거슬러 올라가죠. 자세한 내용 뭡니까?
Q. 노동자 권익, 대화 아닌 투쟁으로 확보하는 게 타당한가요?
Q. 민노총 강경파 행보, 국민도 동의하겠습니까?
Q. 주말 대규모 집회도 예고했습니다. 서울시는 이미 집행 강행 땐 행정명령을 불사하겠다고 했고요. 전망 어떻습니까?
Q. 민노총의 오늘 제11차 중앙집행의원회 회의 개최, 의미가 뭔가요?
Q. 주요 안건은 중집위원 입장 통일화 외에 또 무엇이 있나요?
Q. 김명환 위원장 제안 대의원대회 개최, 수락할까요?
Q. 노사정 합의의 불씨를 살릴지도 관심입니다?
Q.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대타협인 독일 하르츠 개혁, 네덜란드 바세나르 협약, 아일랜드 사회연대협약 등을 참고 필요성도 있어 보입니다. 내용 짚어주시죠.
Q. 파업 때 대체근로가 허용되면서도 균형이 필요하다는 의견, 어떻게 보십니까?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NO. | 제 목 | ![]() |
등록일자 |
---|---|---|---|
8682 | 갈 길 먼 `제2 팬데믹 경제 백신` 기업 ESG 경영 자유기업원 / 2021-02-20 |
||
8681 | 최고 대우 삼성맨 ‘밥그릇 챙기기’ 과욕에 국민 박탈감 커진다 자유기업원 / 2021-02-17 |
||
8680 | [집중진단] 건보 사태 두고 ‘반정규직’의 안정화 vs 민간 위탁업체 도태 야기 자유기업원 / 2021-02-03 |
||
8679 | [집중진단] 건보 콜센터 900여 명 파업…사기업 직원의 정규직 전환이 논란? 자유기업원 / 2021-02-03 |
||
8678 | “경제위기 극복위해 돈 찍어내는 건 망국의 지름길” 자유기업원 / 2021-02-02 |
||
8677 | [ESG 경영] 최태원·이재용·정의선·구광모, ‘포스트 코로나’ 지속가능ESG 생존전략..."선택 아닌 필수" 자유기업원 / 2021-02-01 |
||
8676 | 속도 내는 SK 최태원의 ESG경영… 코로나 위기 속 빛 발하나 자유기업원 / 2021-01-29 |
||
8675 | LG·SK에서 CJ·삼양까지...`썩는 플라스틱`에 푹 빠졌다 자유기업원 / 2021-01-28 |
||
8674 | "실적 좋아도 사회적 가치 창출 낮으면 퇴출"…ESG 대표기업 된 SK 자유기업원 / 2021-01-19 |
||
8673 | 자유기업원 "대학생 80%, 주식투자 때 기업 ESG 등급 고려" 자유기업원 / 2021-01-18 |
||
8672 | 대학생 78% “입사지원 시 기업 ESG 이슈 고려할 것” 자유기업원 / 2021-01-18 |
||
8671 | 대학생 38% "SK가 ESG 경영 `최고`"…LG전자·삼성전자·현대차 順 자유기업원 / 2021-01-18 |
||
8670 | "청년들 ESG 가치 비중 높다" 분위기에 野도 ESG 관심 자유기업원 / 2021-01-17 |
||
8669 | “중대재해법은 시대착오적 법안…보완입법 필요하다” 자유기업원 / 2021-01-15 |
||
8668 | 경제 덮은 외눈정치, 국가·국민 위 군림하는 괴물노조 낳았다 자유기업원 / 202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