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한국 경제자유지수 36위…노동 분야 규제 여전히 심각

자유기업원 / 2020-09-13 / 조회: 11,717       브릿지경제

자유기업원(원장 최승노)은 우리나라의 경제자유지수가 7.69점(10점 만점)으로 전 세계 162개국 가운데 36위를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우리나라 경제자유지수 점수는 2015년 7.63점에서 2018년 7.69점으로 상승했으며, 순위는 39위에서 36위로 세 단계 상승했다.


경제자유지수는 그 나라의 경제적 자유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알려주는 지수로,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가되며 지수가 높을수록 경제자유의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clip20200913175333


한국의 경제자유지수는 2000년 7.08점, 2005년 7.49점, 2010년 7.60점, 2015년 7.63점에 이어 2018년 7.69점으로 상승했다. 경제자유지수 순위는 2005년 38위, 2010년 32위, 2015년 39위에 이어 36위를 기록했다.


경제자유는 절대적으로 개선됐지만,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는 더 개선된 것은 아니라는 평가다.


경제자유지수는 정부규모, 재산권보호, 통화건전성, 무역자유, 시장규제 등 5개 분야로 구성되며, 각 분야는 10점이 만점이다. 정부규모가 작을수록, 재산권보호가 잘 이루어질수록, 통화건전성이 높을수록, 무역자유가 이루어질수록 점수가 크며, 시장규제가 낮을수록 점수가 크다.


한국은 5개 분야 가운데 정부규모, 무역자유, 시장규제 3개 분야에서 점수가 전년대비 하락했다. 시장규제 분야에 속해 있는 금융 규제, 노동 규제, 기업 규제 모두 점수가 전년대비 하락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통화건전성은 17위, 재산권보호는 30위로 다른 분야에 비해 순위가 높은 수준이다. 반면 정부규모 70위, 무역자유 51위, 시장규제 59위로 종합순위보다 순위가 낮다.


특히 시장규제 분야는 59위로 5개 분야 가운데 낮은 순위를 보였다. 그 이유는 시장규제 분야에서 노동규제 항목의 순위가 145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금융규제 항목의 순위는 37위, 기업규제는 16위이다.


한편 경제자유지수 세계 1위는 홍콩으로, 오랜 기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위는 싱가포르, 3위는 뉴질랜드이다.


이번 경제자유지수는 자유기업원이 전 세계 95개 자유주의 연구기관들과 공동으로 발간한 ‘2020년 세계 경제자유(Economic Freedom of the World; 2020 Annual Report)’ 책자를 통해 발표됐다.


김세희 기자 popparrot@viva100.com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8817 [기업규제] "윤 정부의 규제개혁 목표, (전 정권보다) 본질에 더 가깝다"
자유기업원 / 2022-09-21
2022-09-21
8816 "한국 경제자유지수, 31위(2010년)에서 43위(2020년)로 하락"
자유기업원 / 2022-09-08
2022-09-08
8815 규제 완화했다지만…“동일인관련자 범위 모호”
자유기업원 / 2022-09-08
2022-09-08
8814 자유기업원, “공정거래법 시행령, 동일인관련자 범위 모호하고 무리한 형사처벌 여전”
자유기업원 / 2022-09-07
2022-09-07
8813 [신간] ‘제임스 뷰캐넌: 공공선택학의 개척자, 정부만능주의를 경계하다’
CFE / 2022-08-21
2022-08-21
8812 [신간산책] 제임스 뷰캐넌: 공공선택학의 개척자, 정부만능주의를 경계하다
자유기업원 / 2022-08-19
2022-08-19
8811 자유기업원 등 4개 단체, ‘윤석열 정부 출범 100일 평가와 과제’ 공동세미나
자유기업원 / 2022-08-12
2022-08-12
8810 자유기업원, ‘윤석열 정부 출범 100일 평가와 과제’ 세미나 개최
자유기업원 / 2022-08-10
2022-08-10
8809 친족경영 무관한 기업 쏟아지는데…"총수 지정제 시대착오적"
자유기업원 / 2022-08-09
2022-08-09
8808 “사외이사도 동일인?…36년 된 ‘기업집단지정제도’ 바꿔야”
자유기업원 / 2022-08-09
2022-08-09
8807 "이해진은 강행, 김범석은 보류…`과잉규제` 동일인 범위 줄여야"
자유기업원 / 2022-08-09
2022-08-09
8806 `공정거래법상 기업집단 지정제도` 개편방안 논의의 장 열린다
자유기업원 / 2022-08-05
2022-08-05
8805 자유의 뜻과 자유가 가져올 결과를 진지하게 고찰해보라
자유기업원 / 2022-07-31
2022-07-31
8804 자유기업원, ‘중대재해법의 실태와 개혁방안’ 세미나 개최
자유기업원 / 2022-07-21
2022-07-21
8803 대통령의 ‘인생책’ 『선택할 자유』, 19년 만에 개정판 출간
자유기업원 / 2022-07-14
2022-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