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영화 국제시장이 정부외압으로 만들어졌다고?

자유경제원 / 2017-02-01 / 조회: 13,257       미디어펜
영화 <국제시장>을 기사 제목에 등장시킨 아래 기사는 친절하게 <국제시장>의 포스터를 기사의 시작에 첨부하였다. 기사의 첫 문장은 "그간 영화계에 돌던 '정권외압설'이 사실로 확인됐다"는 확언이다.

  
▲ [친절한 쿡기자] '국제시장' 정말로 박근혜 말 때문에 만들었나...외압설 확인./사진=쿠키뉴스 기사캡처

 
<기사개요>
● 매체 : 쿠키뉴스
● 기사명 : [친절한 쿡기자] '국제시장' 정말로 박근혜 말 때문에 만들었나...외압설 확인
● 기자 : 이은지 
● 등록일자 : 2017년 01월 16일

기사를 계속해서 살펴보면, 한겨레가 단독 보도한 내용 즉, 2014년 11월 말 CJ 손경식 회장이 박근혜 대통령을 독대해 압박을 받았다는 것을 근거로 삼으며 CJ가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국제시장>, <인천상륙작전>과 같은 '애국주의’ 마케팅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어 기자는 CJ E&M은 '<국제시장>의 제작 기획 시기는 2012년’ 이라며 박대통령과 관련 없다고 밝히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하지만 이 기사의 마지막 문단의 시작이자 결론은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정권 압박설’이 사실로 확인됐다는 것입니다” 라는 이해할 수 없는 문장이다.
 
이 기사는 큰 흥행을 거둔 영화 <국제시장>을 겨냥하며, 이것이 '박근혜의 말 때문에 만들어졌다’ 라는 명백한 거짓을 쓰고 있다. 더욱이 웃긴 점은, 이 기사는 1월 16일에 업로드 된 후, 17일 수정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제목을 바꾼 듯하다. 그 근거는, 기사가 최초 작성되고 수정되기 이전인 16일에 이 기사를 퍼간 다른 웹사이트를 살펴보면 제목이 “'국제시장’ 정말로 박근혜 말 때문에 만들었다” 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아래 그림 참고)
 
  
▲ 영화 국제시장 관련 뉴스의 네이버 검색결과/사진=네이버 캡처

폐허의 한국에서 시작해 한국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들을 한 가정의 가장으로 겪어 온 덕수의 삶을 그려 세대를 초월해 많은 공감과 감동을 이끌어 낸 영화 <국제시장>을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제작된 영화라는 거짓으로 오염시키고 있다.
 
심지어 기사의 본문에 국제시장의 제작 기획이 2012년에 시작되었다는 사실을 제시하면서도 결론은 거짓으로 이끌고 있는 담대함을 보인다. CJ E&M의 입장을 듣지 않더라도 <국제시장>의 개봉시기를 생각해보면 이 주장이 거짓이라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 2014년 11월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서 12월에 영화를 개봉시켰다는 것이 말이 되는가. 기자는 하루 만에 기사의 제목을 “박근혜 말 때문에 만들었다”에서 “만들었나” 라고 어미(語尾) 장난질을 하고 있다.
 
이러한 명백한 거짓은 계속해서 확대 재생산 되고 있다. T Times 라는 인터넷 신문은 CJ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잘 보인 것’ 으로 <명량>, <국제시장>, <연평해전>, <인천상륙작전>을 들고 있다. 일단 역사적 사실이었던 사건들을 다룬 영화를 대통령에게 '잘 보인 것’이라고 표현하는 이유 자체도 모르겠지만, 이 포스팅 역시 태연스럽게 거짓을 써 넣고 있다. <연평해전>의 배급사는 CJ가 아니다.
 
  
▲ 몇 편의 영화와 관련, CJ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잘 보인 것이라는 인터넷 신문의 주장./사진=T Times

최근 개봉하여 흥행을 하고 있는 영화 <공조>는 <국제시장>과 제작사(JK필름), 배급사(CJ)가 같다. <공조>는 어떤 영화인가? 북한 공작원에게 대놓고 “xx 멋있다”고 하면서 북한을 범죄자도 없는 살기 편한 나라라 칭하고, 결국 주인공이 북으로 가는 영화이다. 이제 이 영화에도 정치적 평가를 해 줄 것인가? 끝물 정권의 뒤통수를 후려치고 새로운 정권의 사주를 받아 북한을 찬양하는 영화라고?
 
CJ와 '정권 압박설’에 대해 영화와 함께 일산 'K컬처밸리’도 항상 등장하는 단골이다. <쿠키뉴스>에서도 'K컬처밸리’를 운운하고, 정권의 의도는 “대중문화를 비롯한 스포츠 등을 화제로 삼아 정치에 관심을 두지 않게 하는 '3S’ 정책에서 발전해 대중문화로 국민을 컨트롤하려 드는 지경”이라고 평하고 있다. 'K컬처밸리’는 무엇인가? 2005년 손학규 경기지사가 '한류우드(韓流Wood)' 조성계획 발표한 뒤로 10년이 지나도록 이렇다 할 성과는커녕 지지부진한 모습만 보여 왔다. CJ가 이 사업에 뛰어든 것이 못마땅하다는 것은, 계속해서 사업이 진행되지 못하고 공터로 남아있길 바라는 것인가?
 
3S 정책을 들먹이며 정부가 “대중문화로 국민을 컨트롤” 한다고 하니, 정부는 모든 대중문화 관련 예산을 책정하지 않는 것은 어떨까. 너무나 당당하게 거짓을 전하는 '대중문화’에 넌더리가 난다. /김다인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석사과정

  
▲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 베트남으로 간 군인들과 기술자들, 중동의 열사들, 구로공단과 평화시장의 여공들과 강원도 태백 광부들에 이르기까지 모두 가족에 대한 헌신과 책임감이 탁월했다. 이들은 애국심이라는 거창한 구호보다는 안정된 소득, 사익을 추구했다./사진=영화 국제시장 스틸컷



(이 글은 자유경제원 자유북소리 언론고발 게시판에서 볼 수 있습니다.)

[김다인]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8817 [기업규제] "윤 정부의 규제개혁 목표, (전 정권보다) 본질에 더 가깝다"
자유기업원 / 2022-09-21
2022-09-21
8816 "한국 경제자유지수, 31위(2010년)에서 43위(2020년)로 하락"
자유기업원 / 2022-09-08
2022-09-08
8815 규제 완화했다지만…“동일인관련자 범위 모호”
자유기업원 / 2022-09-08
2022-09-08
8814 자유기업원, “공정거래법 시행령, 동일인관련자 범위 모호하고 무리한 형사처벌 여전”
자유기업원 / 2022-09-07
2022-09-07
8813 [신간] ‘제임스 뷰캐넌: 공공선택학의 개척자, 정부만능주의를 경계하다’
CFE / 2022-08-21
2022-08-21
8812 [신간산책] 제임스 뷰캐넌: 공공선택학의 개척자, 정부만능주의를 경계하다
자유기업원 / 2022-08-19
2022-08-19
8811 자유기업원 등 4개 단체, ‘윤석열 정부 출범 100일 평가와 과제’ 공동세미나
자유기업원 / 2022-08-12
2022-08-12
8810 자유기업원, ‘윤석열 정부 출범 100일 평가와 과제’ 세미나 개최
자유기업원 / 2022-08-10
2022-08-10
8809 친족경영 무관한 기업 쏟아지는데…"총수 지정제 시대착오적"
자유기업원 / 2022-08-09
2022-08-09
8808 “사외이사도 동일인?…36년 된 ‘기업집단지정제도’ 바꿔야”
자유기업원 / 2022-08-09
2022-08-09
8807 "이해진은 강행, 김범석은 보류…`과잉규제` 동일인 범위 줄여야"
자유기업원 / 2022-08-09
2022-08-09
8806 `공정거래법상 기업집단 지정제도` 개편방안 논의의 장 열린다
자유기업원 / 2022-08-05
2022-08-05
8805 자유의 뜻과 자유가 가져올 결과를 진지하게 고찰해보라
자유기업원 / 2022-07-31
2022-07-31
8804 자유기업원, ‘중대재해법의 실태와 개혁방안’ 세미나 개최
자유기업원 / 2022-07-21
2022-07-21
8803 대통령의 ‘인생책’ 『선택할 자유』, 19년 만에 개정판 출간
자유기업원 / 2022-07-14
2022-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