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서울지하철 통합 이견…"안전강화"vs"굳이 왜"(종합)

자유경제원 / 2017-02-09 / 조회: 8,280       뉴스1

서울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통합과 관련해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찬반이 갈리고 있다. 한쪽은 '안전강화, 시민편의 제고'를 위해 통합이 필요하다고 하는 반면에 다른 한쪽은 '과장된 기대'라며 요금 현실화 등 지금 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는 9일 오후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서울교통공사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안 공청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이대현 서울시 교통기획관은 추가적인 재정부담 없이 안전인력을 확보해 시민안전을 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복업무인력을 지하철역 등 현업·안전분야로 재배치해 안전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또 각종 시설·장비·부품 등의 표준화, 모듈화를 통해 통합적 안전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통합관제센터 건립 등 안전시설 운영 일원화 역시 안전강화 요소로 꼽았다. 

이 기획관은 "콜센터·유실물센터 통합운영으로 민원창구는 물론 환승역 통합관리가 일원화된다"며 "시민편의 역시 제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반면 조동근 명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서울시의 이같은 논리를 조목조목 비판했다. 

조 교수는 "지하철 사고와 안전문제, 지하철 통합은 논리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연결고리"라고 꼬집었다. 앞서 발생한 지하철 사고는 외주화의 잘못이 아니라 외주의 관리부실로 인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그는 "2016년 5월말 구의역 사고 뒤에는 '메피아 계약'이 있었다. 서울시도 응분의 책임을 져야 했다"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메피아, 관피아를 먼저 고치라"며 "(안전을 위한) 구체적인 세부 실행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통합공사 출범 자체가 답일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시민편의 제고와 관련해서는 "통합만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필요하면 업무협약(MOU) 등을 통해 콜센터를 얼마든지 통합 운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후 토론시간에서도 찬반 격론이 이어졌다. 명순필 5678서울도시철도노동조합 위원장은 "삼성과 엘지가 다르듯이 양공사가 MOU 등으로 해결할 수 없는 체계가 있다"며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공사 통합을 지지한다"고 설명했다. 

이영수 사회공공연구원 연구위원은 "통합 자체가 목표가 아니다. 과정일 뿐"이라며 "통합이 무엇을 담을까가 중요하다"는 원칙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통합을 통해 필요하지만 행정자치부의 인원제한 등과 같은 지금의 구조적 한계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풀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일원화를 위한 MOU 체결의 경우 부과적인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며 "시민편의를 높일 수 없다"고 말했다. 

송상석 녹색교통운동사무처장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임을 기억해야 한다"며 양공사 통합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것을 제안했다. 그는 "코레일이 흑자를 내기 위해 무궁화열차 등의 저렴한 노선을 줄였다. 이게 지속가능한 방안이냐"고 지적했다. 

반면 최승노 자유경제원 부원장은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며 "지금도 할 수 있는 조치들이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고 말했다.  

허원순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은 "통합이 답이다, 아니다라고 말할 수 없다"면서도 "양공사 체제로 가야만 할 정도로 문제가 있는지를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특히 적자경영을 지적하며 "지하철 요금을 더 낼 의사가 있다"며 "요금의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8511 [생생경제] 배달대행 노동자? "외국선 우버 기사도 노동자로" vs "사업자는 사업자"
자유기업원 / 2019-11-08
2019-11-08
8510 [생생경제] “최저임금으로 1인 사업자 증가? 배달앱 성장으로 플랫폼 노동 늘어난 탓”
자유기업원 / 2019-11-08
2019-11-08
8509 [이뉴스초대석]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문정부, 시장 간섭주의 벗어나 시장 순응적 경제정책 펴야”
자유기업원 / 2019-11-07
2019-11-07
8508 골든타임 놓친 국민연금…"연금보험료 단계적으로라도 올려야"
자유기업원 / 2019-11-06
2019-11-06
8507 [아침토론] 서울시, 신혼부부 주거지원…“표퓰리즘 vs 필요한 정책”
자유기업원 / 2019-10-29
2019-10-29
8506 한국 기업, 지속가능지수 하향평준화…돌파구는 있나
자유기업원 / 2019-10-22
2019-10-22
8505 연금 투자결정 ‘기금운용위’ 개편, 전문성 확보될까?
자유기업원 / 2019-10-14
2019-10-14
8504 [생생경제] 지지리도 욕먹던 마크롱, 노동개혁으로 지지율 올라?
자유기업원 / 2019-10-11
2019-10-11
8503 [생생경제] 철도노조 파업을 바라보는 양 극단의 시각
자유기업원 / 2019-10-11
2019-10-11
8502 실업을 다시 생각한다...."청년들의 중소기업 회피는 합리적이다"
자유기업원 / 2019-10-07
2019-10-07
8501 “벼랑 끝 한국경제 해법은 자유우파 총선·대선 승리”
자유기업원 / 2019-10-07
2019-10-07
8500 금감원, 파생손실 조사 결과 발표…투자자 vs 은행 충돌 불가피
자유기업원 / 2019-10-01
2019-10-01
8499 기업 해외투자 증가…“법인세 낮춰라 vs 기업 감당가능”
자유기업원 / 2019-09-30
2019-09-30
8498 “한국, 경제자유지수 세계 33위… 노동규제는 중국보다 낮은 144위”
자유기업원 / 2019-09-25
2019-09-25
8497 금융리더십 공백 노린 5%룰…최종구·은성수 패싱?
자유기업원 / 2019-09-15
2019-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