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기업 있는 곳, 예술 꽃핀다` 입증한 기업인"

자유경제원 / 2017-02-10 / 조회: 8,275       한국경제
문화재 유출막으려 골동품 수집 
해외유출 문화재 경매로 사들여 호암미술관 세워 예술발전 기여
1982년 호암미술관 개관식에 참석한 고 이병철 삼성회장. 한경DB

1982년 호암미술관 개관식에 참석한 고 이병철 삼성회장. 한경DB


고(故) 호암(湖巖)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의 과감한 투자가 한국의 문화예술 발전을 이끌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유경제원은 9일 서울 마포동 리버티홀에서 '예술을 사랑한 기업인 이병철: 기업이 있는 곳에 예술이 꽃핀다’를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다. 참석자들은 오는 12일 호암 탄생 107주년을 맞아 “이 창업주는 '기업이 있는 곳에 문화예술도 꽃핀다’는 명제를 증명해낸 기업인”이라고 입을 모았다. 

주제발표에 나선 남정욱 대한민국문화예술인 공동대표는 “이 창업주는 문화예술 분야 발전이 개인과 국가 모두를 이롭게 한다는 확신이 있었다”며 “문화재 보호법이 없어 해외로 수많은 국내 문화재가 유출되던 1950년대부터 이 창업주는 문화재 유출을 막아야겠다는 생각으로 골동품을 사 모으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산업보국의 시대에 개인의 정신활동은 상대적으로 가볍게 취급받았지만, 호암은 이에 굴하지 않았다”며 “1982년 세계 최대 개인 미술관인 호암미술관을 세우는 등 인프라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말했다. 호암미술관 면적은 3960㎡로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일본 이데미쓰미술관(2300㎡)의 1.5배 규모로 건설됐다.


남 대표는 “이병철은 예술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고 있었고, 그것을 미술관이라는 형식의 유산으로 남겨준 우리 시대 최고의 예술적 기업인”이라며 “호암의 예술 정신은 오늘날 삼성그룹의 문화예술 저변화 사업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토론에 나선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김다인 씨는 해외에 유출된 문화재를 호암이 찾아온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호암이 1979년 10월 일본 야마토문화관에서 열린 고려 불화 특별전에서 한국인은 경매에 참여할 수 없게 되자 미국인 고미술 전문가를 앞세워 경매에 참가했다”며 “이때 사들인 작품 2점은 국보와 보물로 지정돼 국내 대표적 고려 불화로 평가받고 있다”고 말했다.


곽은경 자유경제원 시장경제실장은 “한국에선 기업의 문화예술 후원을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다”며 “기업인들이 예술품 수집처럼 대중이 보기에 고상한 취미를 가지면 사치스럽다고 비판하고, 기업의 예술 분야 후원은 당연히 내야 하는 '준조세’로 여긴다”고 꼬집었다. 곽 실장은 “기업인의 예술 활동에 대한 비난은 한국 사회를 풍요롭게 하는 문화예술 분야가 발전할 기회를 가로막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김순신 기자 soonsin2@hankyung.com 

 

정민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8511 [생생경제] 배달대행 노동자? "외국선 우버 기사도 노동자로" vs "사업자는 사업자"
자유기업원 / 2019-11-08
2019-11-08
8510 [생생경제] “최저임금으로 1인 사업자 증가? 배달앱 성장으로 플랫폼 노동 늘어난 탓”
자유기업원 / 2019-11-08
2019-11-08
8509 [이뉴스초대석]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문정부, 시장 간섭주의 벗어나 시장 순응적 경제정책 펴야”
자유기업원 / 2019-11-07
2019-11-07
8508 골든타임 놓친 국민연금…"연금보험료 단계적으로라도 올려야"
자유기업원 / 2019-11-06
2019-11-06
8507 [아침토론] 서울시, 신혼부부 주거지원…“표퓰리즘 vs 필요한 정책”
자유기업원 / 2019-10-29
2019-10-29
8506 한국 기업, 지속가능지수 하향평준화…돌파구는 있나
자유기업원 / 2019-10-22
2019-10-22
8505 연금 투자결정 ‘기금운용위’ 개편, 전문성 확보될까?
자유기업원 / 2019-10-14
2019-10-14
8504 [생생경제] 지지리도 욕먹던 마크롱, 노동개혁으로 지지율 올라?
자유기업원 / 2019-10-11
2019-10-11
8503 [생생경제] 철도노조 파업을 바라보는 양 극단의 시각
자유기업원 / 2019-10-11
2019-10-11
8502 실업을 다시 생각한다...."청년들의 중소기업 회피는 합리적이다"
자유기업원 / 2019-10-07
2019-10-07
8501 “벼랑 끝 한국경제 해법은 자유우파 총선·대선 승리”
자유기업원 / 2019-10-07
2019-10-07
8500 금감원, 파생손실 조사 결과 발표…투자자 vs 은행 충돌 불가피
자유기업원 / 2019-10-01
2019-10-01
8499 기업 해외투자 증가…“법인세 낮춰라 vs 기업 감당가능”
자유기업원 / 2019-09-30
2019-09-30
8498 “한국, 경제자유지수 세계 33위… 노동규제는 중국보다 낮은 144위”
자유기업원 / 2019-09-25
2019-09-25
8497 금융리더십 공백 노린 5%룰…최종구·은성수 패싱?
자유기업원 / 2019-09-15
2019-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