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와이드 이슈& '아침토론' - 정용건 사회연대포럼 운영위원장,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국민연금 최고의결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가 기금운용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상근 전문위원직을 신설하고, 산하 전문위원회 법제화를 추진합니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내놓은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운영 개선방안'에 따른 건데요. 정부는 전문성 강화로 안정적인 국민연금 수익률을 유지하고, 정부의 영향권에서 벗어난 독립적 기금 운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개선방안만으로 기금운용위원회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요. 여러분은 우리의 국민연금을 어디에 투자할지 결정하는 기금운용위원회의 변화, 어떻게 보십니까? 오늘(14일) 아침토론에서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Q. 정부가 국민연금 최고의결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를 개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개편은 계속해서 추진이 됐던 부분이죠. 두 분도 필요성 자체에는 공감해오셨나요?
Q. 현재 기금운용위 구성과 바뀌는 구성을 좀 비교해서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 화면에 비교해 놓은 그래픽이 나가고 있는데요. 두 분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Q. 사실상 지난해 10월 복지부가 내놓은 전문성 강화방안에서 사실상 후퇴한 거라고 봐야 하지 않나요?
Q. 이번에 정부가 내놓은 국민연금 기금운용위 개편 방향의 주요 골자는, 기금운용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상근 전문위원직을 신설하는 겁니다. 상근 전문위원직을 둔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지부터 좀 짚어봐야 할 것 같은데요?
Q. 기금운용위 내에 상근 전문위원직을 신설한다면 전문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보십니까?
Q. 상근 전문위원은 투자전략 같은 정책 검토와 논의 참여는 하지만 기금위 의결권은 없습니다. 단순한 연구용역에 그칠 우려는 없을까요?
Q. 국민연금 기금 운용 수익률이 떨어진 원인이 상당히 복합적인데, 상근 전문위원 확충이라는 하나의 솔루션으로 해결이 가능할까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
Q. 정부의 개입 정도와 그에 따른 독립성 강화에 대한 부분을 좀 더 토론해보겠습니다. 계속 지적하셨듯이 그동안 기금운용위가 정부 소속이어서 그 자체만으로도 독립성 강화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지 않았습니까? 이 부분, 두 분 어떻게 보세요?
Q. 기금운용위가 정부 부처인 보건복지부 소속이고, 장관이 위원장을 맡는 곳은 한국이 유일하다? 맞습니까?
Q. 일본, 캐나다, 네덜란드처럼, 아예 기금운용위 안에 정부 인사를 빼는 것도 방법이라는 지적이 있는데…
Q. 일각에서는 이런 지적도 합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독립성을 지키는 게 재계와 노동계 위원을 늘리는 것인가? 정부 인원 줄이고 재계와 노동계 위원 수만 늘리면, 최저임금위 같이 계속 공전만 거듭하게 될 수 있다는 거죠. 두 분은 어떻게 보세요?
Q. 수익을 올려야 하는 국민연금 기금운용 본연의 임무보다 정치적 대립의 장이 되지는 않을까?
Q. 스튜어드십 코드 강화로 국민연금의 주주 활동이 과거에 비해 적극적인 상황이 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민연금 기금운용위가 개편을 맞이하게 된 건데, 기업들에 어떤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하십니까?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NO. | 제 목 | ![]() |
등록일자 |
---|---|---|---|
9072 | [포토] 자유기업원, 서포터즈 `함께 알아가는 시장경제` 발대식 자유기업원 / 2023-09-01 |
||
9071 | 65세로 정년 연장 vs 재고용 계속 근로···김문수표 장외 공론화 시작 자유기업원 / 2023-08-24 |
||
9070 | 자유기업원 “소비자 선택권 강화된 분산에너지법, 전력시장 활성화 기대” 자유기업원 / 2023-08-18 |
||
9069 | 27번 언급한 ‘자유’, 27년간 간직한 ‘선택할 자유’... 윤 대통령의 ‘실천적 자유’ 자유기업원 / 2023-08-16 |
||
9068 | “한전 독점 전기시장 깨고 전력시장 자유화해야” 심포지엄 성료 자유기업원 / 2023-08-13 |
||
9067 | “미-중 분쟁, 한국에 위기 아닌 천재일우 기회” [ER초대석] 자유기업원 / 2023-08-11 |
||
9066 | 공언련 "국회는 문재인 정권의 언론인 학살에 대한 국정조사 나서야" 자유기업원 / 2023-08-08 |
||
9065 | [조형래 칼럼] 문재인 정부 시절 19일 늦어진 세금해방일 자유기업원 / 2023-08-01 |
||
9064 | 공언련 "이동관 지명 이후 모순 보여준 언론·시민단체...간판 즉각 내려야" 자유기업원 / 2023-07-31 |
||
9063 | 전통시장과 ‘상생’은 온데간데…식자재마트만 배불렸다 자유기업원 / 2023-07-28 |
||
9062 | `피터팬 증후군` 앓는 대한민국 기업들 [정밀 진단] 자유기업원 / 2023-07-28 |
||
9061 | 尹 `선택할 자유` 다음은 `자유헌정론`?···여름휴가 추천 도서 20선 자유기업원 / 2023-07-25 |
||
9060 | 상생협력법, 대-중소기업 협력 위축 가능성 자유기업원 / 2023-07-25 |
||
9059 | 중소기업 기술탈취 방지법, 대‧중기간 부작용 우려 자유기업원 / 2023-07-24 |
||
9058 | [김이석 칼럼] 스미스, 하이에크, 그리고 필 수상 자유기업원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