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의 수신료 인상은 타당한 것일까.
자유경제원이 ‘공영방송 KBS에 수신료 가치를 묻다’을 주제로 내달 9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 자유경제원 5층 회의실에서 토론회를 연다.
토론회에서는 ▲언론학적 측면 ▲경제학적 측면 ▲문화적 측면 등 3가지 관점에서 KBS수신료 인상에 대한 가치를 분석한다.
각각 선문대학교 황근 신문방송학과 교수, 자유경제원 최승노 부원장, 조우석 문화평론가가 발제를 맡았다. 사회자는 자유경제원 현진권 원장이다.
자유경제원은 “세월호 오보, 문창극 전 총리후보 등 왜곡보도 사태의 중심에 선 KBS가 부정적인 여론에도 불구하고 꿋꿋이 수신료 인상을 주장하고 있다”며 “이번 사태로 인해 수면에 있던 KBS의 방만경영, 자사이기주의 등 수 많은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했다. 이어 “일부에서는 수신료 거부와 공영방송 존재의 이유에 의문을 제기할 정도”라고 덧붙였다.
앞서 자유경제원은 지난 20일 개최한 ‘KBS사태 어떻게 풀어야 하나‘ 좌담회에서 “공영방송의 부당한 보도에 대한 ‘저항권’의 개념으로 수신료 납부 거부 시민운동 역시 정당화 될 수 있다"며 KBS수신료 인상을 반대한 바 있다.
NO. | 제 목 | ![]() |
등록일자 |
---|---|---|---|
5050 | [보도] 치솟는 삼겹살 가격…1근에 2만 원근접 ‘최고치’ 자유경제원 / 2014-07-07 |
||
5049 | [보도]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자유경제원 최승노 부원장, 시민경제사회연구소 홍헌호 소장 자유경제원 / 2014-07-05 |
||
5048 | [보도] 김정호 박사 `"이통통신 3사는 경쟁을 원하지 않는다" 자유경제원 / 2014-07-04 |
||
5047 | [보도] 사례로 풀어 쓴 시장경제 입문서 3권 자유경제원 / 2014-07-04 |
||
5046 | [보도] "문창극 사태, 한국사회에 내재된 `비이성` 때문" 자유경제원 / 2014-07-03 |
||
5045 | [보도] "피케티 자본론을 향한 올바른 시각은 무엇인가" 자유경제원 / 2014-07-03 |
||
5044 | [보도] 최승노박사, 자본주의는 정의로운 체제 `시장경제시리즈` 출간 화제 자유경제원 / 2014-07-03 |
||
5043 | [보도] [동영상] 화제의 책 `21세기 자본론` 분석한 세미나 열려 자유경제원 / 2014-07-03 |
||
5042 | [보도] “무작정 돈 퍼부으면 문화융성?” 혁신 없는 문화정책 자유경제원 / 2014-07-03 |
||
5041 | [보도] “혁신학교는 좌파 귀족학교 오히려 ‘교육 역차별’ 불러” 자유경제원 / 2014-07-03 |
||
5040 | [보도] 혁신학교, 엄청난 지원금으로 학생 상대 실험하나 자유경제원 / 2014-07-03 |
||
5039 | [보도] “혁신학교, 좌파 교육감 철학 구현 위해 국민세금 충당” 자유경제원 / 2014-07-03 |
||
5038 | [보도] 자유경제원 <문화융성, 무엇이 올바른 정책인가> 토론회 개최 자유경제원 / 2014-07-03 |
||
5037 | [보도] 자유경제원, <교육쟁점 연속토론회 제3차 : 혁신학교 이대로 좋은가> 자유경제원 / 2014-07-03 |
||
5036 | [보도] 박근혜정부 문화융성, 복지식 배분은 지양돼야 자유경제원 / 2014-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