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자학적 상처, 트럼프의 관세

Patrick Tyrrell, Anthony B. Kim / 2018-03-22 / 조회: 13,806

cfe_해외칼럼_18-48.pdf

 

이따금 국제 정치에 있어, 외국인의 자국 상품 및 자원의 구매를 금지함으로써 경제적 제재를 가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이번 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조국인 미국에 그러한 경제적 제재를 가하려고 한다. 그가 부과하려는 관세는 미국 시민에게 시혜적일 것이라고 하지만, 도움을 받는 시민은 없을 것이다. 오히려 일부 미국인들은 관세 부과에 따른 철강 및 알루미늄 가격 인상에 의해 타격을 입을 것이다.


미 상무부 관계자는 관세가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negligible effect)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원가 인상으로 인해, 관련 분야로 특화된 자동차, 기계 및 제조업 분야에서 발생할 실업의 걱정을 덜지는 못했다. Meractus Center의 Christine McDaniel “보스턴의 다리가 무너졌다고 생각해보라. 보스턴에 미치는 영향은 크겠으나, 국가적으로 보면 이는 사소한 문제이다. 그렇다고 하여 우리가 보스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건을 무시해서야 되겠는가? 또한 우리는 효과가 작다고 하여 부(-)의 경제적 효과를 무시해야 하는가? 물론 그렇지 않다.”고 주장하며, 관세 인상의 효과를 경시하지 않을 것을 역설했다.


나아가 관세 부과에 따른 영향은 미국의 광대한 경제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지, 실제로는 결코 미미하지 않다. 2016년 헤리티지 재단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철강을 수요하는 제조업에 있어, 관세로 인해 690만 일자리가 타격을 입고, 건설업의 경우 1,010만 명의 근로자가 위협받을 수 있다. 이는 철강 가격 인상으로 임금이 오를 철강 산업 근로자 14만 정규직 근로자에 비교되는 수치이다.


근래의 새로운 보고서는 상무부와 동일한 경제 모형을 바탕으로 하였는데, 이에 따르면 관세 부과로 인한 직업 감소분은 14만 6천여 명으로, 철강 산업 전체에 종사한 근로자의 수보다 많은 수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철강 및 비금속 분야의 고용은 33,464명이 늘지만, 전체 경제에 있어 179,334명의 실업자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합적으로 관세 부과에 따른 경제적 영향은 부(-)의 결과가 예상된다.


다른 나라와의 자유무역은 제로섬(zero-sum) 활동이 아니다. 자유무역으로 번영한 자는 그렇지 못한 자보다 훨씬 많고, 이는 미국과 다른 외국 모두에 적용된다. 오히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은 그렇지 못할 것이다. 정책에 따른 패배자가 덕을 본 사람보다 훨씬 많을 것이다. 근로자와 소비자는 궁극적으로 저임금과 실업을 통해, 관세 부과의 값을 치르게 될 것이다.


본 내용은  https://fee.org/articles/has-brexit-boosted-the-british-economy/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번역 : 박성수

       

▲ TOP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378 우체국이 법 위에 군림하는 것 때문에, 우리 모두는 대가를 지불하고 있다
Ross Marchand / 2019-03-19
Ross Marchand 2019-03-19
377 정부 셧다운: 탈중앙화가 답이다
Ryan McMaken / 2019-03-18
Ryan McMaken 2019-03-18
376 왜 우리는 아직도 사회주의의 ‘가치’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는가?
Steven Greenhut / 2019-03-15
Steven Greenhut 2019-03-15
375 백악관의 예산책정과 관련한 새로운 술수: 해외 전쟁예산에 불법이민 단속 예산 포함시키기
Eric Boehm / 2019-03-13
Eric Boehm 2019-03-13
374 최저임금의 인상은 회사들로 하여금 비정규직을 더욱 늘리게 만들 것이다
Ryan Bourne / 2019-03-06
Ryan Bourne 2019-03-06
373 뉴욕의 불법체류자들은 운전면허에 한 발짝 더 가까이 다가왔다
Courtney Joyner / 2019-03-05
Courtney Joyner 2019-03-05
372 로스엔젤레스에서 시행하는 유급휴가 정책 ‘Feel good’은 그 비용을 생각하면 더 이상 ‘기분 좋은’ 정책이라고 볼 수 없다
Shirley Svorny / 2019-03-04
Shirley Svorny 2019-03-04
371 평등에 대한 비극적인 집착
Jacob G. Hornberger / 2019-02-28
Jacob G. Hornberger 2019-02-28
370 이제 존스 법에 의한 금수조치를 철회할 때이다
Colin Grabow / 2019-02-27
Colin Grabow 2019-02-27
369 캐나다인들이 연말에 알아야 할 사실
Niels Veldhuis / 2019-02-26
Niels Veldhuis 2019-02-26
368 정부 정책기조는 재분배보다 경제의 성장을 우선시해야 한다
Ryan Bourne / 2019-02-25
Ryan Bourne 2019-02-25
367 가난한 사람이 문제가 아니다, 복지에 의존하는 젊은이들이 문제다
Star Parker / 2019-02-22
Star Parker 2019-02-22
366 미국의 극단적 사회주의자들이 영국의 정책에 효시가 되도록 하자
Ryan Bourne / 2019-02-21
Ryan Bourne 2019-02-21
365 비평가들의 왜곡된 CEO-근로자 간 임금 격차
Jason Clemems / 2019-02-20
Jason Clemems 2019-02-20
364 그렇다, 마리화나 합법화는 제대로 작용하고 있다
Jeffrey Miron / 2019-02-19
Jeffrey Miron 2019-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