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경제 길라잡이] 희소성이란 무엇인가?

최승노 / 2020-06-15 / 조회: 6,315

중세 유럽에서 황금보다 비쌌던 물감원료 '라피스라줄리'

…18세기 이후 화학물감 나오자 비싸게 살 이유 없어졌죠


14~17세기 유럽에서 황금보다 비싼 보석은 단연 라피스라줄리였다. 청금석이라고도 불리는 라피스라줄리는 당시 울트라마린 색상의 물감을 만드는 원료로 사용됐다. 특히 아프가니스탄 바다흐샨 샤르샤흐 지역에서 생산되는 라피스라줄리는 선명하고 아름다운 색상으로 인기가 높았을 뿐만 아니라 희귀하기까지 해 더욱 비싼 가격에 거래됐다. 


희소성은 상대적인 개념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하면 희소성의 가치가 더해지고, 가격은 천정부지로 치솟기 마련이다. 당시 사람들에게 라피스라줄리는 황금이나 다이아몬드 이상으로 희소가치를 지닌 자원이었다.


하지만 18세기 이후 화학산업이 발달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인공적으로 울트라마린 색상의 물감을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 저렴한 가격으로 울트라마린 색상의 물감을 생산하게 되자 더는 사람들이 라피스라줄리를 비싸게 살 이유가 없어졌다. 자연히 라피스라줄리의 수요가 급감했고, 여전히 라피스라줄리는 희귀하지만 더는 희소하지 않은 자원이 됐다.


이처럼 희소성이란 굉장히 상대적인 개념이다. 라피스라줄리의 사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 단순히 생산량의 많고 적음으로 희소성의 가치를 따질 수는 없다. 그 이유는 희소성이란 인간의 욕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가치이기 때문이다.


욕구와 열정의 인간


사람이라면 누구나 물건에 대한 욕심이 있다. 새로운 물건이 나오면 사고 싶고, 주변 사람이 가진 것이 멋져 보이면 자신도 갖고 싶다는 마음이 생긴다. 욕심이란 인간에게 너무도 당연한 본능이며, 누구나 더 좋은 물건을 갖고 싶어 한다.


예를 들어, 삼성이나 애플의 신제품이 출시될 때를 생각해 보자. 으레 많은 사람이 남들보다 한 발 빠르게 신제품을 손에 넣기 위해 출시 첫날, 길게 줄을 선다. 극성스러운 사람은 노숙을 마다하지 않을 정도의 열정을 보이기도 한다. 이들에게는 신제품을 ‘가장 먼저 사용’하는 데에서 희소성의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2012년 미국 블리자드사의 게임 ‘디아블로 3’ 한정판 발매가 있었다. ‘디아블로 3’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 높은 게임 시리즈로 ‘디아블로 2’ 발매 이후 10년 만에 발매되는 초대작이었다. 많은 디아블로 팬들이 광분했고, 특히 한정판에만 들어 있는 여러 아이템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그리고 발매 전날부터 500명 이상이 행사장 앞에서 줄을 서는 기염을 토했다. 디아블로 팬들에게 ‘디아블로 3’ 한정판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희소성 있는 상품인 까닭이었다.


자원의 유한성


희소성은 모두가 원하는 만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한다. 세상에 갖고 싶은 것을 모두 가질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제아무리 부유한 사람이어도 온전한 충족감을 느끼기는 불가능하다. 언제나 더 많은 것을 원하기에 끊임없이 뭔가에 부족함을 느끼고 불만족스러워하게 된다.


사실 인간이 원하는 모든 것을 가질 수 없는 이유는 아주 간단하다. 인간의 욕망은 무한하고 현실에 존재하는 자원은 유한하기 때문이다. 유한한 자원으로 무한한 욕심을 충족시킬 수는 없는 노릇이지 않은가? 자원의 유한성은 필연적으로 희소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희소성의 문제는 경제문제의 핵심으로 작용한다. 본디 경제란 사람들이 한정된 자원을 누가 어떻게 생산하고 소비하며 분배할지를 해결하는 과정이 아닌가.


■ 기억해주세요


자원의 유한성은 필연적으로 희소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희소성의 문제는 경제문제의 핵심으로 작용한다. 본디 경제란 사람들이 한정된 자원을 누가 어떻게 생산하고 소비하며 분배할지를 해결하는 과정이 아닌가.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 TOP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229 [시장경제 길라잡이] 극단적 집단주의가 초래한 비극
최승노 / 2020-07-06
최승노 2020-07-06
228 [문화칼럼] 문화콘텐츠 한류의 중심은 K팝과 방탄소년단이 아니라고?
이문원 / 2020-07-02
이문원 2020-07-02
227 [시장경제 길라잡이] 법치와 부패
최승노 / 2020-06-29
최승노 2020-06-29
226 [시장경제 길라잡이] 사람은 혼자서 살 수 없다
최승노 / 2020-06-22
최승노 2020-06-22
225 [문화칼럼] K팝은 내수시장이 작아 해외로 진출할 수밖에 없었다?
이문원 / 2020-06-16
이문원 2020-06-16
[시장경제 길라잡이] 희소성이란 무엇인가?
최승노 / 2020-06-15
최승노 2020-06-15
223 [시장경제 길라잡이] 원자력 에너지와 공포
최승노 / 2020-06-08
최승노 2020-06-08
222 [문화칼럼] 1인당 영화관람 횟수 세계 1위 한국은 영화광들의 나라다?
이문원 / 2020-06-02
이문원 2020-06-02
221 [시장경제 길라잡이] 맬서스 인구론의 오류
최승노 / 2020-06-01
최승노 2020-06-01
220 [시장경제 길라잡이] 상속세, 기업을 위협하다
최승노 / 2020-05-25
최승노 2020-05-25
219 [시장경제 길라잡이] 성공한 기업과 장수하는 기업
최승노 / 2020-05-18
최승노 2020-05-18
218 [문화칼럼] 유럽영화는 예술적인 반면 미국영화는 상업적이다?
이문원 / 2020-05-18
이문원 2020-05-18
217 [시장경제 길라잡이] `LA타임스`의 기사 쓰는 로봇 기자
최승노 / 2020-05-11
최승노 2020-05-11
216 [문화칼럼] 문화는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
이문원 / 2020-05-04
이문원 2020-05-04
215 [시장경제 길라잡이] 실패한 일본의 경기 부양책
최승노 / 2020-05-04
최승노 2020-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