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E로고
정보
네트워크
교육
FreeTube
오디오클립
도서
CFE 소개
ENG Facebook YouTube search

[서가에 꽂힌 한 권의 책] 소유와 자유

자유기업원 / 2020-09-25 / 조회: 15,147       신동아

“소유 없는 자유 혹은 자유 없는 소유는 가능한가?” 


인류는 이 같은 오랜 질문을 풀고자 대장정을 하고 있다. 논쟁은 여전히 되풀이된다. '소유와 자유’는 소유와 자유의 상관관계를 명쾌한 필치로 증명한 책이다. 


러시아 역사 전문가인 저자는 먼저 '소유권에 대한 보장과 개인의 자유 사이에는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자유가 없어도 어떤 형태로든 소유가 존재할 수 있지만 반대는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협의(狹義)의 소유는 '어떤 사람이 외부의 특정 대상에 다른 이를 배제한 채 자기 권리를 주장하고 그 지배를 행사하는 것’이고 광의(廣義)의 소유는 '누군가 가치를 부여하고 권리를 가지는 모든 것’인데 둘 다 자유를 보장하는 정치적·법적 제도 탄생 열쇠를 제공했다고 전제했다. 


가설 검증을 위해 인류 역사 속 소유와 정치제도 간 상관관계도 고찰했다. 먼저 인류사에서 소유 개념 변천을 분석했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등 고대 사상가부터 중세 가톨릭교회, 봉건영주까지 각기 달리 정의한 소유권 개념을 조망했다. 이어 소유제도를 분석하면서 취득성이라는 속성은 동물과 인간이 가진 보편 욕구이며, 소유를 보장하는 제도가 서구에서 정치적 조직을 발전시켰음을 주장했다. '원시 공산주의’에 대한 믿음은 구체적 증거가 결여된 논리적 추론의 산물이라는 점도 지적했다. 


이어 '경제’와 '전제’를 주제로 유럽의 두 강국 영국과 러시아 사례를 파고들었다. 사유재산제도가 발달했던 영국은 자유롭고 발전된 사회를 이뤘지만, 사유재산제도가 없던 러시아에서는 자유가 발달하지 못했고, 그 결과가 장기간의 전제적 통치로 이어졌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마지막으로 20세기 미국 사례를 통해 사회정의·공공선이라는 명분으로 경제·사회적 평등을 추구하는 복지국가 뒤에 숨은 '자유에 대한 보이지 않는 위협’을 지적한다. 


자유가 소유와 연결된다는 명제는 특별하지 않다. 다만 연구 분야는 각각 벽을 쌓고 있었다. 자유에 관한 연구는 자유의 개념 발달과 이를 보장해주는 정치제도에만 집중해 왔을 뿐, 경제적 토대는 무시하고 있었다. 반면, 소유 문제를 다루는 학자들은 정치·문화적 배경을 간과했다. 이 점에서 소유와 자유의 상관관계를 밝힌 이 책은 가치를 지닌다. 나아가 책을 통해 소유의 존재와 부재가 자유와 민주주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한다면, 가장 소중하게 지켜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복지국가라는 공공선을 추구한다는 명분으로 정부 규제가 가중되고, 개인의 자유와 재산권이 위협받는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이 책은 '어디서 무엇이 잘못됐나’를 일깨워준다. 자유기업원의 경제 이론서 연작 '자유주의시리즈’ 중 76번째 책. 2008년 번역·출간됐으나 절판됐다 12년 만에 재출간됐다.


신동아 2020년 10월호


최창근 객원기자 caesare21@hanmail.net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9386 자유기업원 “주 4.5일제, 법제화보다 유연한 제도 운용 필요”
자유기업원 / 2025-07-02
2025-07-02
9385 자유기업원, 제12호 ‘이슈와 자유’ 발간…“주 4.5일제, 단계적 도입이 바람직”
자유기업원 / 2025-07-02
2025-07-02
9384 자유기업원 "주 4.5일제, 일률적 법제화보다 단계적으로 도입해야"
자유기업원 / 2025-07-02
2025-07-02
9383 2025 하계공동학술대회, 수원 더함파크서 개최… 전국 학계 및 정책현장 전문가 한자리에
자유기업원 / 2025-07-01
2025-07-01
9382 `지속발전 가능한 새 정부의 지역정책은?` 학계와 정책현장 전문가 한자리에
자유기업원 / 2025-07-01
2025-07-01
9381 현대도시의 지속가능성 향한 하계공동학술대회 개최...전국 학계와 정책현장 전문가 한자리에
자유기업원 / 2025-07-01
2025-07-01
9380 ‘지속가능성과 새 정부의 지역정책’ 2025 하계공동학술대회 성료
자유기업원 / 2025-07-01
2025-07-01
9379 1만1,460원 VS 1만70원…자영업자 50% "최저임금 부담 많다"
자유기업원 / 2025-07-01
2025-07-01
9378 `퇴직연금 의무화` 시동…"도입은 시기상조" VS "퇴직금 체불 근절"
자유기업원 / 2025-06-30
2025-06-30
9377 [직설] 소상공인-근로자 갈등…최저임금 파행 구조 이대로 괜찮나?
자유기업원 / 2025-06-30
2025-06-30
9376 자유기업원, 법과 시장의 만남…‘법, 경제를 만나다’ 출간
자유기업원 / 2025-06-30
2025-06-30
9375 자유기업원 “잠재성장률 3% 회복, 제도 개혁 없이는 불가능”…시장중심 구조전환 시급
자유기업원 / 2025-06-27
2025-06-27
9374 [신간] 법경제학 입문서, `법, 경제를 만나다`
자유기업원 / 2025-06-27
2025-06-27
9373 자유기업원·좋은규제시민포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행정·교육개혁과 한국적 시사점` 세미나 개최
자유기업원 / 2025-06-19
2025-06-19
9372 기업 자유가 성장 동력… 자유기업원, 정부 목표에 ‘환영’
자유기업원 / 2025-06-17
2025-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