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팬지가 키웠던 '벨로'는 인간사회 적응 못했죠…
'인간은 사회적 동물'…타인과 상호작용하며 살죠
1996년 나이지리아의 숲에서 네 살배기 아이가 발견됐다. 아이의 이름은 벨로. 생후 6개월에 버려져 2년 반이 넘도록 침팬지 손에서 자랐다. 발견 당시만 해도 벨로는 사실상 인간다운 모습을 거의 찾을 수 없었다. 태어났을 때만 해도 정상이었을 등뼈는 침팬지처럼 네 발로 걷던 습성 때문에 휘어서 바로 서지 못했고, 자연히 직립보행도 불가능했다.
또한, 뇌가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해 인간의 언어를 전혀 하지 못했다. 그저 침팬지처럼 소리 내고 행동할 뿐이었다. 야생 침팬지와 생활하며 침팬지의 모습을 보고 흉내 내며 자라온 벨로에게 인간 사회는 낯설고 이해하기 힘들었으리라.
실제로 벨로는 처음 발견되고 6년이 지난 2002년에야 나이지리아 카누시 보육원에서 다른 사람들과 생활하게 되었다. 하지만 10세가 된 벨로는 또래 아이들과 확연히 다른 모습이었다. 하루 12시간을 뛰어다니며 시도 때도 없이 손뼉을 치며 괴성을 질렀다. 뛰어다니지 않을 때는 흙을 집어 먹거나 열매를 가지고 놀았다. 또래 아이들과 어울리기를 싫어하고 침팬지의 사진을 보여주면 침팬지 소리를 내며 반응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 엄밀히 말해 벨로는 결코 침팬지가 아니었다. 하지만 다른 사람과 전혀 어울리지 못하고 침팬지의 생활 습성을 고스란히 따라하는 벨로를 인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
침팬지와 인간 사이의 어중간한 지점에 놓인 벨로의 사례에서 우리는 중요한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벨로처럼 인간 사회에서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며 자연스럽게 지적 능력을 발달시키고 인간의 생활양식을 습득하는 경험을 전혀 하지 못하는 경우 사람으로 태어났을지언정 결코 사람다운 삶을 영위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야생에서 침팬지와 함께하며 동물의 삶을 살았던 벨로가 끝끝내 인간 사회에 속하지 못하고 백만 년 전의 유인원 모습으로 남을 수밖에 없었던 것은 바로 이 사실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그렇다면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이렇게 정의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이 말인즉,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회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사회란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형태의 인간 집단”으로, 나와 다른 사람들로 이뤄진다. 다시 말해, 나와 다른 사람이 함께 어우러져 살아갈 때에 비로소 인간은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간은 타인의 존재를 끊임없이 필요로 하며 타인과의 끊임없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답게 살게 된다.
그렇다면 벨로처럼 처음부터 인간 사회에 속하지 못하고 외따로 성장한 것이 아니라 인간 사회에서 멀쩡히 잘 살다가 혼자 남은 경우는 어떻게 될까? 아마도 경제적 어려움과 외로움에서 벗어나 다시 문명화된 사회로 돌아가려고 몸부림쳤을 것이다. 대니얼 디포의 소설 주인공 로빈슨 크루소처럼 말이다.
오늘날 인류가 높은 수준의 문명을 이룩할 수 있었던 데에는 수많은 사람이 모여 이루는 교환의 경제가 있었던 덕분이다. 각자가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를 다른 사람과 교환하면서 풍요와 번영을 이끌어냈고, 이와 같은 경제적 발전을 토대로 문명이 발달하지 않았는가.
그리고 문명이 발달하고 개개인의 생산 능력이 향상되면서 경제 규모는 더욱더 확대되고 개인의 삶 역시 윤택해질 수 있었다. 이처럼 경제와 문명은 서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함께 발전을 이끌어왔고, 그 밑바탕에는 수많은 사람이 모여 함께하는 사회가 있었다.
■ 기억해주세요
오늘날 인류가 높은 수준의 문명을 이룩할 수 있었던 데에는 수많은 사람이 모여 이루는 교환의 경제가 있었던 덕분이다. 각자가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를 다른 사람과 교환하면서 풍요와 번영을 이끌어냈고, 이와 같은 경제적 발전을 토대로 문명이 발달하지 않았는가.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NO. | 제 목 | 글쓴이 | 등록일자 | |
---|---|---|---|---|
243 | [시장경제 길라잡이] 두드려라, 그러면 열릴 것이다 최승노 / 2020-09-14 |
|||
242 | [시장경제 길라잡이] 기회비용 최승노 / 2020-09-07 |
|||
241 | [문화칼럼] BTS에 세계가 난리인데 왜 그들 노래는 국민가요가 아닐까? 이문원 / 2020-09-03 |
|||
240 | [시장경제 길라잡이] 음악과 자유 최승노 / 2020-08-31 |
|||
239 | [시장경제 길라잡이] 잘하는 일 vs 좋아하는 일 최승노 / 2020-08-24 |
|||
238 | [문화칼럼] 대중문화 한류의 발판은 88올림픽과 2002월드컵이었다? 이문원 / 2020-08-18 |
|||
237 | [시장경제 길라잡이] 통일은 무조건 좋은가 최승노 / 2020-08-17 |
|||
236 | [시장경제 길라잡이] 교환이 일으킨 기적 최승노 / 2020-08-10 |
|||
235 | [시장경제 길라잡이] 일하는 노년에 대하여 최승노 / 2020-08-03 |
|||
234 | [문화칼럼] BTS, 기생충, 사랑의 불시착...왜 `한꺼번에` 세계가 열광하나? 이문원 / 2020-07-31 |
|||
233 | [시장경제 길라잡이] 복지병을 이겨낸 칠레 최승노 / 2020-07-27 |
|||
232 | [시장경제 길라잡이] 모든 무역은 공정무역이다 최승노 / 2020-07-20 |
|||
231 | [문화칼럼] 미국에서는 <기생충>이 청소년관람불가인데 한국에서는 15세 관람가? 이문원 / 2020-07-16 |
|||
230 | [시장경제 길라잡이] 규제의 역설 최승노 / 2020-07-13 |
|||
229 | [시장경제 길라잡이] 극단적 집단주의가 초래한 비극 최승노 / 202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