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가 다니는 기업 공격하는 민노총 산별노조

최승노 / 2022-12-05 / 조회: 4,193       자유일보

자기가 다니는 기업을 공격하는 노동자들의 모임 현장에는 민주노총이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왜 민주노총은 기업을 공격하는 일에 밀접히 관련되어 있을까. 그 근본적인 이유는 민주노총이 가진 정치적 이념과 투쟁 방식 때문이다. 갈등을 통해 자신들의 세계를 건설하겠다는 이념을 따르고 산별노조를 운영 원리로 삼다보니, 기업을 적대시하고 반기업 투쟁의 선봉이 되고 있다.


기업은 이익을 추구하는 공동체다. 수익을 더 내기 위해 서로 협력하는 사람들이 모인 계약체다. 함께 일하기로 한 계약자가 공동체를 와해시키고 이미지를 스스로 허무는 투쟁에 나선다면, 기업체의 공동체 의식은 파괴되기 마련이다. 이런 일을 민주노총이 수시로 벌이고 있다.


민주노총 산별노조 지부에서 자신이 다니는 회사의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을 벌이는 일은 다반사다. 보통 사람의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민주노총에서는 흔하게 일어나는 투쟁 방식이다. 그런 반기업 투쟁을 통해 자신들이 다니는 기업이 타격을 보더라도, 노조의 이익만을 챙기면 그만이라는 식이다. 그런 반기업 투쟁은 노조에게 특권과 이익을 챙기는 수단이 되지만, 함께 공동체를 이룬 모든 협력자들은 피해를 본다. 그들에게는 공동체 의식이 없는 것이다.


민주노총의 산별노조 방식은 공동체 의식을 파괴하기에 적절한 논리를 제공한다. 그들은 그 회사의 소속이 아니라 민주노총 산별노조 지부의 조합원임을 우선시한다. 회사 공동체의 일원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애사심이나 공동체 의식을 가질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의 노조 이름은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차지부’이다. 민주노총 산별노조가 핵심이고, 현대차에 지부를 두고 있다는 뜻이다. 한마디로 노조원들에게는 민주노총이 우선이고 회사는 그 다음이라는 것이다.


유럽에서는 산별노조가 지역공동체의 전통을 이어받아 기업공동체의 일원으로 산업현장에서 생산성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일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왜 그렇게 되지 않을까. 민주노총이 기업과 지역의 공동체에 바탕을 둔 것이 아니라 정치투쟁을 도모하기 때문이다.


산별노조가 기업을 공격 대상으로 삼아 특권을 챙기게 되면, 자신들이 가져가야 할 몫 이상을 챙겨가는 문제가 발생한다. 기업을 공격해 자신들에게 유리한 노사협약을 체결하고 이를 통해 막대한 돈을 가져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다른 근로계약자, 특히 비정규직 근로자 그리고 협력업체의 근로자의 몫을 줄인다. 우리 사회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격차가 커지고, 협력업체 근로자와의 임금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산별노조의 투쟁방식이 만든 결과다.


민주노총이 공격을 하게 되면, 해당 기업은 막대한 피해를 본다. 산별노조 방식이라 막대한 투쟁 자금이 타겟이 된 기업의 분규 현장에 제공될 수 있다. 관련 단체 또는 언론의 협조도 가능하다. 더구나 정치권도 민주노총의 힘을 무시할 수 없어 이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분쟁을 종결하려 한다.


타깃이 된 기업들은 오랜 기간 시달리게 된다. 노조는 공장 문 앞에 회사와 경영진을 폄하하고 저주하는 현수막을 걸어놓는다. 확성기를 통해 소음을 일으키고, 사업장 내부에서 천막농성이나 투쟁을 통해 일하는 현장 분위기를 망가뜨리기도 한다. 투쟁 선포식, 단식 돌입 기자회견, 공동행동 결성 및 시민행동 선포식, 불매 행동 동참 기자회견, 야간 집회 등을 진행하고, 문화제 형식으로 촛불문화제를 열기도 한다. 해당 기업은 물론 지역 주민의 피해도 크다. 그 결과 기업의 브랜드 가치 하락, 근로자들의 근로 의욕 저하, 경영 자원의 고갈 및 경영 시스템의 붕괴 등 각종 부작용을 겪는다.


생산 현장이 정상화되고 자신이 기여한 만큼 분배받는 건강한 사회가 되기 위해서는, 민주노총의 산별노조 방식 투쟁이 중단돼야 한다. 그래야 합리적 노사협약이 가능하고 근로자들은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

       

▲ TOP

NO. 제 목 글쓴이 등록일자
237 변협과 로톡, 법정 대신 시장에서 경쟁해야
곽은경 / 2023-03-06
곽은경 2023-03-06
236 최대수익 금융은 그들만의 축배인가
이헌석 / 2023-02-17
이헌석 2023-02-17
235 등록금 인상, 대학에 맡겨야
최승노 / 2023-02-01
최승노 2023-02-01
234 [전문가 진단] 노동개혁의 지향점은 기업가정신을 살리는 것이다
권혁철 / 2023-01-26
권혁철 2023-01-26
233 양곡법 밀어붙이는 후진 국회
최승노 / 2023-01-06
최승노 2023-01-06
232 빌라왕 사태를 예방하려면
최승노 / 2023-01-02
최승노 2023-01-02
231 납품단가연동제, 부결돼야 할 반시장적 악법
최승노 / 2022-12-29
최승노 2022-12-29
230 규제개혁위원회, 상설기구화 해야 제역할
최승노 / 2022-12-26
최승노 2022-12-26
229 [전문가 진단] 위기의 국민연금 해법은?
김원식 / 2022-12-23
김원식 2022-12-23
228 노동개혁 성공해야 일자리 늘어난다
최승노 / 2022-12-21
최승노 2022-12-21
227 소비자위원회가 필요한 이유
최승노 / 2022-12-12
최승노 2022-12-12
226 배터리산업 발전 위해 안전성 확보가 우선
최승노 / 2022-12-07
최승노 2022-12-07
225 자기가 다니는 기업 공격하는 민노총 산별노조
최승노 / 2022-12-05
최승노 2022-12-05
224 부산엑스포는 경제 활성화 디딤돌
최승노 / 2022-11-08
최승노 2022-11-08
223 이태원 골목길 참사의 교훈-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최승노 / 2022-11-01
최승노 2022-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