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기업원 ‘택지공영개발, 이대로 괜찮은가?’ 세미나 개최

자유기업원 / 2021-11-15 / 조회: 3,818       글로벌에픽

재단법인 자유기업원(원장 최승노)은 11월 9일 화요일오후 2시, 여의도 산림비전센터 열림홀에서 '택지공영개발, 이대로 괜찮은가?’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해당 세미나는 김정호 서강대학교 겸임교수가 발표를, 한정석 경제성장연구소소장, 김영훈 경제지식네트워크 사무총장이 토론을 맡았다.


이날 사회를 맡은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은 “택지공영개발과 관련, 민영개발을줄여야 한다는 말도 안 되는 방법을 해법으로 제시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본 세미나에서 발표를 맡은 김정호 서강대학교 겸임교수는 “전두환 정부 시절 택지개발촉진법으로 시작된 한국의택지 공급 정책은 쉽게 말하면 정부가 시가보다 낮은 가격에 농민들의 땅을 강제로 빼앗아 실수요자인 도시 내 무주택자들에게 헐값으로 넘겨주는 것과다름없다.”면서 “다수가 소규모로 땅을 소유한 우리나라 특성 상 토지 수용 제도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토지 소유자의 권리가 인정되는 범위에서 수용권이 행사되어야 하며 도시민과 정부가 아닌 토지 소유자들에게 이익금을 돌려주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비판하며 아파트 재건축 사업에서 이익금을 조합원에게 분배하는 방식을 예시로 들었다.


김 교수는 이와 관련, “앞으로 공공의 역할은 도시 계획을 집행하고기반 시설을 개발자들로부터 확보하는 정도로 국한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서울의 1인당 토지사용 면적은 31제곱미터로 홍콩 수준이다.”면서 “우리나라는 땅은 많은데 대부분이농지로 묶여 사용이 어려운 바람에 오지에도 아파트가 건설되어있는 상황이 벌어졌다.”며 “식량 안보보다땅에 건물, 공원을 짓는 등 택지 공급을 대폭 늘리는, 다만난개발이 벌어지지 않게 충분히 기반시설을 짓는 것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더 필요한 일이며 따라서 도시 개발에 유연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마무리 지었다.


이어 토론을 맡은 한정석 경제성장연구소 소장은 “민간개발은 악이고 공공개발은 선이라는 인식이 우리나라에서강한데 민간개발이 제일 합리적 방식”이라면서 “공영개발의 경우 감정평가를 먼저 하는 것이 아닌 예산을 짜고 그 범위 내에서 평가를 하여 공시지가가실제 시가보다 한참 낮게 책정되는 등 사유재산 침해 소지가 다분하다.”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김영훈 경제지식네트워크 사무총장은 “헌법에 따라 토지 수용에 정당한 보상이 있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지켜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 토지 수용 방식은 폭력적”이라면서 “집값을 올리는 그린벨트라는 주술에서 벗어나 용적률 완화 등의 방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11월 9일 진행된세미나 '택지공영개발, 이대로 괜찮은가?’는 자유기업원 홈페이지와자유기업원 유튜브 채널에서 전체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8793 정부가 간섭할수록 경제는 망가져요 자유시장경제가 `부자 나라` 만든다
자유기업원 / 2022-04-11
2022-04-11
8792 [신간산책] 자유주의와 함께 한 모든 순간이 눈부셨다-`자유의 순간들`
자유기업원 / 2022-04-07
2022-04-07
8791 “규제 개혁 약속 엊그제건만” 사정 정국에 떠는 재계
자유기업원 / 2022-03-30
2022-03-30
8790 [논설실의 서가] 번영을 위한 지름길
자유기업원 / 2022-03-20
2022-03-20
8789 [원 클릭 시사] 세금해방일
자유기업원 / 2022-03-17
2022-03-17
8788 `친시장` 윤석열 정부, 손질할 기업 규제는
자유기업원 / 2022-03-14
2022-03-14
8787 “일자리는 기업이 만드는 것”…정부 과제는 민간 일자리 육성
자유기업원 / 2022-03-14
2022-03-14
8786 “한국, GDP 대비 자산세 비중 OECD 공동1위”
자유기업원 / 2022-02-23
2022-02-23
8785 한국, GDP 대비 자산세 비중 OECD 공동1위....종부세 부담 가장 커
자유기업원 / 2022-02-23
2022-02-23
8784 “소득주도성장 등으로 국가채무 5년간 440조원 늘었다”
자유기업원 / 2022-02-21
2022-02-21
8783 "소득주도성장으로 5년간 국가 채무 440조원 증가"
자유기업원 / 2022-02-21
2022-02-21
8782 “일주일만에 규제 입법 뚝딱…정치 논리가 시장 기능 떨어뜨려”
자유기업원 / 2022-02-07
2022-02-07
8781 "수탁위, 대표소송 남발 불보듯…이사회 보신주의만 부추길 것"
자유기업원 / 2022-02-07
2022-02-07
8780 “위헌적 요소 다분한 중대재해법, 입법보완 시급”
자유기업원 / 2022-01-19
2022-01-19
8779 "중대재해법은 경영책임자를 처벌하는 등 연좌제적 형법"
자유기업원 / 2022-01-19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