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료제 #관료모형 #정치인 #공공선택론
■ 제12강 공공선택론에서 바라보는 관료, 관료제
정치인에 비해 관료가 강한 결정권을 가질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리고 관료는 왜 자신이 속한 부처의 예산 극대화를 추구할까요❓︎
관료와 정치인을 바라보는 이야기❗︎ 영상 속에 남겨두었습니다.
김성준 교수와 함께하는 공공선택론 순한맛은 이번 12강을 마지막으로
마무리됩니다❗︎ 그동안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공선택론 바로가기: https://bit.ly/3gRD1or
■ 제작: 시장경제의 중심 자유기업원
■ 후원: https://cfe.org/info/sponsor.php
-

라이브공연과 가격차별|뮤직코노믹스 7강|지인엽 교수
-

밀턴 프리드먼 교수의 학술적 공헌 6가지|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
-

스포츠 비즈니스의 성패는 팬 충성도에 달려있다|스포츠경제학|이영훈 교수
-

10강 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은 민주주의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졌나?|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9강 민주주와 경제성장|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한국 스포츠경기 티켓이 저렴한 이유|스포츠경제학|이영훈 교수
-

8강 21세기 자유민주주의의 위기|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7강 20세기 냉전 종식 후 민주주의 자살 사례들|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6강 19세기의 민주주의 자살 사례|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5강 역사에서 만나는 민주주의 자살 예방법|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이탈리아 OO지역에서 오페라 명작이 많이 탄생한 이유|뮤직코노믹스 6강|지인엽 교수
-

4강 민주주의,어떻게 제도가 이념이 되었나?|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3강 마키아벨리 정치이론에서의 민주주의|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2강 원조 민주주의,그리스의 정치이론|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1강 민주주의란 무엇인가?|민주주의 위기인가?|김우택 명예 교수
-

21세기 초,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위력|정치경제강좌|김인철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