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 장학 제도의 학생, 학교는 시장 경제에서의 공급자, 수요자와 비슷한 맥락이다. 교내 근로 장학생은 한 달에 한 번씩, 학교에서 일한 수당만큼의 월급을 받을 수 있다. 학교는 근로 장학생을 통해, 학교 행정 업무를 처리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렇게, 학교와 학생은 서로에게 좋은 영향을 주어, 순기능적인 상관 관계를 이루고 있으므로 시장경제 속에서 서로 영향을 끼치는 수요자와 공급자와 비슷하다.
또한, 근로 장학생의 모집 경쟁률도 시장경제에서 경쟁률과 비슷하다. 근로 장학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수는 많지만, 이에 대한 학교 모집 인원은 적은 편이다. 대학생이 근로 장학생이 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해야 하는데, 이 점은 시장경제에서 '명성 있고 우수한 공급자’ 역할을 하는 기업의 입사 경쟁률과 비슷하다.
학교는 근로 장학을 통해, 학생에게 시간당 최저임금과 동일한 금액을 부여한다. 그래서, 학교는 필요한 인력을 저렴한 임금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부서마다 요구하는 학생의 능력치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서, 국제처는 외국인 학생의 행정 업무를 보조할 수 있도록, 영어와 중국어를 잘하는 인력이 필요하다. 대외협력처는 학교를 외부 기관 및 단체에 홍보해야 하므로, 카드 뉴스와 영상을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인력이 필요하다. 학교 본관 CS 부서는 학생 및 학부모에 대한 문의 사항을 접수하는 곳이므로, 고객 응대 경험이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이렇게 각 부서에서 필요한 인력을 각각 필요한 능력 및 경험을 가진 학생으로 대체한다면, 손쉽게 인력을 구하고 저렴한 임금으로 학교의 지출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근로 장학은 대학생에게도 많은 이점을 제공해주어, 인기가 많은 아르바이트 중 하나이다. 그 이유는 첫 번째로, 다른 아르바이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한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근로 장학생은 보통 각 부서에서 행정 업무를 하며, 전화 업무를 하게 된다. 육체적으로 힘들지 않고, 특정 시기(대학 입시 및 개강 시기)를 제외하면 바쁘지 않게 업무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육체적으로 노동이 매우 필요하거나 시간 투입이 많은 아르바이트보다 수월한 편이라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학업과 병행하기 가장 좋은 아르바이트 중 하나이다. 근로 장학은 본인 학교에서 일하는 것이므로 대면 수업,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학교 행사 등 학교와 관련된 활동을 할 때도, 다른 아르바이트에 비해 편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근로 장학생의 장점으로 인해, 교내 장학생의 경쟁률은 치열하다. 또한, 학기마다 생기는 근로 장학생 여석이 매우 적다. 각 부서에서 한 학기에 1명의 학생을 뽑을까 말까인데, 기존에 업무를 했던 학생이 그만두지 않는 경우가 아니면 여석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적은 여석에 수많은 학생이 교내 근로 장학생 모집에 지원하기 때문에, 근로 장학생이 되는 것은 쉽지 않다.
교내 근로 장학생으로 선발되기 위해서,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제출해야 한다. 서류에서 합격하게 되면, 해당 부서의 교직원분과 면접을 봐야 한다. 그리고 면접이 통과되어야, 근로 장학생으로 선발이 될 수 있다. 각 부서에 필요한 능력 (ex: 외국어 회화 능력, 포토샵 사용 능력, 컴퓨터 사용 능력 등)과 서류와 면접에서 성실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면, 근로 장학생으로 선발될 수 없다.
이렇게 근로 장학 제도를 통해, 학교와 학생은 시장에서의 수요자와 공급자처럼 서로 의존적인 관계이다. 서로 도움이 되는 부분을 제공해주어, win-win 되는 관계이다. 학생은 근로 장학 제도를 통해서 최저임금을 받으며 용돈 벌이를 할 수 있으며, 부서에서 경험했던 행정 업무를 바탕으로 회사 시스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회사는 최저임금이라는 저임금으로 행정 업무를 우수한 능력을 갖춘 학생에게 맡겨, 학교의 행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근로 장학생으로 선발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은 시장경제 속 공급자의 일부분이 되기 위한 지원자의 경쟁 모습을 보여준다. 우수한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회적으로 명성이 있는 공급자 밑에서 일하고 싶은 사람들의 경쟁은 치열하기 때문이다. 우수한 능력을 갖춘 인력이 많을수록, 시장은 더 활발하게 이루어져 발전할 수 있다.
이렇게 학생은 교내 근로 장학생 경험을 통해, 학교와 근로 장학생 간의 관계와 서로 얻는 이점에 대해서 파악하면, 시장경제 속의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관계와 경쟁 체제에 대해서 파악할 기회가 될 것이다.
NO. | 수상 | 제 목 | ![]() |
글쓴이 | 등록일자 |
---|---|---|---|---|---|
43 | 대상 | 공군훈련소에서 경험한 시장경제 이종명 / 2023-05-19 |
|||
42 | 대상 | 시장경제는 본질적으로 아름답다. 이주형 / 2023-05-19 |
|||
41 | 대상 | "누나, 저 이제 돈 벌어요!" 이헌재 / 2023-05-19 |
|||
40 | 대상 | 9년째 논란이 일어나고 있는 도서정가제 김용운 / 2023-05-19 |
|||
39 | 최우수상 | 과연 ‘지긋지긋한 젠트리피케이션’일까? 이나현 / 2023-05-19 |
|||
38 | 최우수상 | 중고차의 반란 김수환 / 2023-05-19 |
|||
37 | 최우수상 | 코로나-19 환경의 자연선택과 시장경제 안윤형 / 2023-05-19 |
|||
36 | 최우수상 | 종합부동산벌금으로 전락한 종합부동산세 구한민 / 2023-05-19 |
|||
35 | 최우수상 | 소유 경제에서, 공유 경제로 이승찬 / 2023-05-19 |
|||
34 | 최우수상 | 커피는 거들뿐, 나는 감성을 사러 카페에 갑니다 김가연 / 2023-05-19 |
|||
33 | 최우수상 | 슬램덩크로 보는 국부론 오문영 / 2023-05-19 |
|||
32 | 최우수상 | 선의가 망치는 수요와 공급 손경훈 / 2023-05-19 |
|||
31 | 최우수상 | `정`겨운 시장, `정`겹지 않은 마트?? 김태완 / 2023-05-19 |
|||
30 | 최우수상 | 직구와 시장의 국경 최선하 / 2023-05-19 |
|||
29 | 최우수상 | 있었는데요, 없어졌습니다 – 재산과 상속세 권민성 / 202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