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산업 연말결산 ③ 건설‧부동산 업계] 악재 다발에 최대 위기...내년이 더 암울하다

자유기업원 / 2022-12-22 / 조회: 2,338       뉴스락

3고 시대·코로나19·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등 대내외 악재 다발

레그랜드발 대규모 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확산 조짐...중견,중소 건설사 줄도산 우려

집값 폭락, 미분양 속출 등 부동산 시장 내년이 더 암울...해외시장 마저 찬바람 '쌩쌩'


[뉴스락] 3高(고물가·고금리·고환율)시대를 맞아 올해 건설·부동산업계가 위기에 내몰렸다. 문제는 내년이 더 암울하다.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전쟁 사태의 장기화로 건설자잿값이 잡히지 않고, 원가 상승으로 인한 수익성 하락, 고분양가와 고금리로 인한 부동산 매수심리 실종까지 더해졌다.


여기에 레고랜드발 채권시장 경색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 전반의 부실화로 번질 조짐을 보이며 현금이 부족한 중소 건설사들의 줄도산도 우려가 되는 최악의 상황을 맞고있다.


건설사들은 이러한 국내 악재를 피해 해외로 눈을 돌려보지만 글로벌 위기 속에선 돌파구 찾기가 쉽지 않다.


올해 초 시행한 중대재해처벌법의 압박까지 겹쳐 건설·부동산 업계는 그야말로 진퇴양난, 사면초가다.


<뉴스락>은 시공능력평가 10대 건설사 중심으로 건설·부동산 업계 한 해를 되짚어보며 내년을 전망해본다.

10대 건설사 7곳 영업이익 하락... 쌓여가는 ‘받지 못한’ 돈


<뉴스락>은 올해 및 지난해 10대 건설사 3분기 공시자료를 취합해 분석해보니, 별도기준 3분기 누적 매출은 대부분 상승했으나 영업이익에서 7곳이 하락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은 올해 3분기 누적 매출 10조5673억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34.23% 상승했다. 영업이익도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1180억에서 올해 6340억으로 437.29% 큰폭 늘었다.


현대건설도 3분기 누적 매출 8조4907억, 영업이익 2956억을 기록해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8.73%, 46.19% 증가했다.


DL이앤씨는 누적 매출 3조8454를 기록, 2.19%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549억으로 23.6% 감소했다. 하지만 원가률 85%, 영업이익률이 9%로 10대 건설사 중 수익성이 가장 높았다.


포스코건설의 누적 매출은 5조8766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16% 올랐으나, 영업이익은 2436억을 기록해 27.02% 감소했다.


GS건설은 누적 매출 5조9670억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59%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2620억으로 34.71% 큰폭 감소했다.


중흥그룹 품에서 새 출발을 하고 있는 대우건설은 누적 매출 6조7271억, 영업이익 3960억을 기록해 각각 16.51%, 1.3% 증가하면서 올해 악재 속에서도 선방하는 모습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의 누적 매출은 5조4376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09% 상승했지만, 영업이익은 48.28%(1506억)으로 큰 폭으로 떨어졌다.


롯데건설은 누적 매출 4조1157억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미미하게 상승(0.95%)했으나 영업이익은 2791억으로 22.79% 감소했다.


SK에코플랜트는 누적 매출 4조2450억으로 전년 동기 대비 5.19%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1718억을 기록하면서 4.71% 소폭 감소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경우 누적 매출 2조3720억, 영업이익 372억을 기록해 각각 2.64%, 89.82% 감소했다. 10곳 중 유일하게 매출 부분의 하락과 가장 큰 영업이익 감소 폭을 보여줬는데, 이는 광주 사태 수습의 여파로 인한 실적 부진으로 풀이된다.


건설업계를 이끌고 있는 상위 10대 건설사들도 올해 악재들을 피하지 못한 모습이다.


3분기 말 기준으로 국내외로 수주 잔액이 넉넉한 것은 희망적인 부분이다.


▲삼성물산 28조5030조 ▲현대건설 61조3126억 ▲DL이앤씨 19조4568억 ▲포스코건설 18조3331억 ▲GS건설 43조3681억 ▲대우건설 46조4348억 ▲현대엔지니어링 29조6196억 ▲롯데건설 17조2215억 ▲SK에코플랜트 18조2948억 ▲HDC현대산업개발 22조1518억 등으로 집계됐다.


다만 수주 잔액이 늘어난 만큼 발주처에 공사비를 청구하지 못한 미청구공사금액 또한 늘어났다.


10대 건설사의 올해 3분기 말 기준 미청구공사금액은 총 12조5742억으로 지난 해 말과 비교해 25%(10조227억) 증가했다.


또한 발주처에 공사대금을 청구했으나 회수하지 못한 공사미수금이 늘어난 것도 문제다.


10대 건설사의 올해 3분기 말 기준 공사미수금은 총 9조201억이다. 작년 말과 비교해 5%(8조5692억) 증가했다.


미청구공사액과 공사미수금는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라 미분양이나 공사 기간 지연 등이 발생할 경우 건설사의 현금흐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미분양과 자금 경색에 따른 줄도산 우려... 롯데건설 ‘리스크 관리’ 수장 교체


레고랜드 사태로 인한 PF부실 우려 등으로 건설업계가 자금 경색에 빠지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부동산 한파로 인한 미분양까지 속출하면서 건설사들의 줄도산이 우려되고 있다.


국토부의 ‘10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5613가구(13.5%)가 증가한 47217가구로 집계되면서 분양시장이 꽁꽁 얼어붙은 모양새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들어 충남지역 종합건설업체 6위인 우석건설과 경남지역 도급 순위 18위인 동원건설산업이 도산했다,

우석건설의 경우 시공능력평가액 1300억원 대의 중견건설사다. 동원건설산업은 지난해 매출 500억 원대를 올렸지만, 미분양을 시작으로 22억원 규모의 어음을 해결하지 못해 부도 처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SGC이테크건설, 중흥토건, 대방건설, 태영건설 등도 자금 조달 난항을 겪으며 계열사를 통해 자금을 확보하는 움직임도 보였다.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건설사들의 경우 미분양과 자금 경색 등의 동시다발적 악재에 견디지 못하고 줄도산할 위기에 놓였다는 전망도 나온다.


대형건설사인 롯데건설의 경우에도 레고랜드 사태 이후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금융기관과 롯데그룹으로부터 1조5000억 규모의 자금 수혈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기를 타파하기 위해서 롯데건설은 지난달 5년 8개월의 하석주 체제에서 박현철 신임 대표이사로 수장을 교체하는 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움직임에 분주하다.


박현철 대표는 1985년 롯데건설에 입사해 롯데쇼핑, 롯데물산, 등을 거치며 2019년에는 롯데지주 경영개선실장을 맡아 2020년 사장 자리까지 오른 정통 ‘롯데맨’이다.


특히 각종 위기 속에서 성공을 이끌어낸 그의 리스크 관리 능력이 롯데건설을 구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롯데월드타워를 성공적으로 완공시켰던 경험 등 뛰어난 리스크 관리 능력으로 롯데건설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건설업계 '중대재해처벌법' 비상


중대재해처벌법이 무색하게도 건설현장에서의 사상자는 줄어날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과거부터 산업재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왔기 때문에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건설업계는 비상이다.


고용노동부와 국토부의 발표에 따르면, 근로현장에서 올해 3분기 누적 사망사고는 483건(510명) 발생했다. 이중 건설업은 243건(253명)으로 50%를 차지한다.


10대 건설사 3분기 누적 사망자는 ▲현대건설 2건(2명) ▲DL이앤씨 3건(4명) ▲대우건설 3건(3명) ▲현대엔지니어링 1건(1명) ▲롯데건설 1건(1명) ▲SK에코플랜트 2건(2명) ▲HDC현대산업개발 1건(6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DL이앤씨의 경우 4분기 연속 사망자를 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근로자들의 안전과 보건을 확보하기 위해 경영책임자에게 의무를 부과한 법률로, 법인과 별도로 사업주에게도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데서 현행 산업안전보건법과는 차이를 두고 있다.


적용 범위는 상용 근로자 50인 이상인 사업 또는 사업장이나 건설업의 경우 공사금액 50억원 이상인 현장을 대상으로 하며, 근로현장에서 사망자 1명 이상 혹은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 2명 이상 발생, 유해요인의 직업성 질병자가 1년 내 3명 이상 발생할 경우에 적용된다.


법이 시행되면서 1호 처벌을 피하고자 안전점검 등의 이유로 당시 건설현장 곳곳에서 공사가 중단된 바 있다.


또한 중대재해처벌법상 도급인과 건설공사 발주자의 개념이 구분되지 않아 발주자는 수사를 피해갈 수 있다는 점에 있어 논란의 소지가 있다.


익명을 요청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근로자의 안전을 지키자는 취지에는 충분히 동감하고 있지만 내부 기준과 규정이 모호한 면이 있다”며 “처벌도 좋지만 예방에 좀 더 신경썼으면 한다”고 말했다.


최승노 자유기업원 원장은 <뉴스락>과의 인터뷰에서 “중대재해처벌법은 기업을 벌주기 위한 수단이지 사고를 줄이기 위한 기능은 하고 있지 않다”며 “처벌 중심의 법이다 보니 오히려 생산 활동을 위축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건설·부동산업계 내년에도 ‘흐림’... "금융시장·분양시장 정상화 필요"


전문가들은 내년 건설·부동산업계의 경기전망을 ‘침체’로 보고 있다.


하나금융연구소는 내년에도 이어지는 금리 상승세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건설비 인상 등으로 신규 공급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자금 조달 비용 증가로 투자 수익률을 저하되고 급등한 원자재 가격이 공사에 반영되면 개발 수익성도 크게 떨어드릴 것으로 전망했다.


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의 의견도 다르지 않다.


국내수주의 경우 내년 정부 예산에서 주거복지 비용이 15.1% 증액된 영향으로 공공주택 부분만 소폭 증가하는 것을 제외하면 공공·민간 모두 부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 주택 부분도 대부분 침체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나, 수도권 재건축·재개발은 일부 양호할 것으로 내다봤다.


금리 상승과 정부가 SOC(사회간접자본:인프라구축) 예산을 10%이상 감축하는 등에 따라 내년 국내 건설수주는 7.5% 감소한 206조8000억으로 예상했다.


건산연은 레고랜드 발 자금경색으로 부도 위험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금융시장 안정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해야한다고 진단했다.


특히 정부의 270만호 주택공급 계획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려면 분양시장의 정상화 없이는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각종 부동산 관련 규제 완화와 더불어 최근 가시화되고 있는 부동산PF 위기 극복을 위해 BAD BANK 설립 등 부실자산의 조기 인수·처리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 21일 '2023년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내년 부동산 규제 완화에 나섰다.


다주택자 규제와 규제지역을 손보고 대출한도도 확대했다.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 중과를 현행 3주택 8%, 4주택 이상 또는 법인 12%인 것을 4%, 6%로 절반 줄인다. 또 내년 5월에 만기인 양도세 중과유예를 1년 연장했다. 중과세율은 내년 7월 세제개편안에서 다룰 계획이다.


특히 다주택자에 대한 대출 규제가 해제된다. LTV 30% 상한으로 주택담보대출을 허용키로 했다. 이와함께 임대차 사업자 육성을 위해 민간 등록임대세제 인센티브도 재실시한다.


내년 초 부동산 규제지역을 추가로 해제하면서,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도 조정한다.


부동산 PF 시장 연착륙 지원도 나섰다. 주택도시보증공사 부동산 PF 보증을 5조원 확대한다.


이윤석 뉴스락 기자


       

▲ TOP

NO. 제 목 등록일자
9163 오세훈, 박형준, 유정복,김두겸 등 신년사
자유기업원 / 2024-01-04
2024-01-04
9162 범사련 등 시민사회단체 합동 신년회 개최
자유기업원 / 2024-01-03
2024-01-03
9161 이갑산 범사련 회장 "유권자운동 통해 헌법 수호…정체성 밝히는 한 해로"
자유기업원 / 2024-01-03
2024-01-03
9160 오는 5일 범사련 등 `시민사회 신년회` 개최
자유기업원 / 2024-01-03
2024-01-03
9159 범사련 등 시민사회 합동 신년회 연다
자유기업원 / 2024-01-03
2024-01-03
9158 범사련, `2024시민사회 합동 신년회` 5일 개최
자유기업원 / 2024-01-03
2024-01-03
9157 범사련 등 시민사회단체 ‘2024 시민사회 합동 신년회’ 개최
자유기업원 / 2024-01-03
2024-01-03
9156 [신간] 자유롭고 위대하게
자유기업원 / 2024-01-02
2024-01-02
9155 자유기업원, 2024년 추천도서 50권 선정 발표
자유기업원 / 2024-01-02
2024-01-02
9154 자유기업원, ‘2024 추천도서 50권’ 선정
자유기업원 / 2024-01-02
2024-01-02
9153 자유기업원, 2024년 추천도서 50권 선정...`사장의 별의 순간`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등
자유기업원 / 2024-01-02
2024-01-02
9152 경제 활력… 자유시장경제 기본을 지키자
자유기업원 / 2024-01-02
2024-01-02
9151 자유기업원, 2024년 추천도서 50권 선정 발표
자유기업원 / 2024-01-02
2024-01-02
9150 "인권 중요하듯 재산권도 중요···자유시장경제 기본 지켜야 경제 활력"
자유기업원 / 2024-01-02
2024-01-02
9149 대형마트 의무휴업 평일 전환 확산되나…규제 완화 여부에 촉각
자유기업원 / 2023-12-27
2023-12-27